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앞세운 인도 경제사절단의 방한으로 우리 정부의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활성화’가 더욱 활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방한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기업의 해외진출을 도와 국가경제를 성장시키는 창조경제의 맥에 닿아 있다는 시각이 대체적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해 1월 우리나라와 인도는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중소기업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해왔다. 특히 모디 정부는 ‘Make in India’ 등 제조업 육성 강화와 외국인투자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 박근혜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인도 CEO 포럼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에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행사장에 들어서고 있다. /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
'Made in India', 우리 기업 인도시장 진출·관계개선 '물꼬'
대·중소기업 연계, 일자리창출 등 창조경제 활성화 견인차
20일 경제계에 따르면, 이번 모디 총리의 방한은 우리 정부의 ‘창조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인도 진출확대를 위한 중대한 포석이 됐다는 평가다.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등 국내 기업의 대 인도시장 활로를 넓히고, 인도 기업과 연계한 중소·중견 기업의 시장진출 확대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다.
사실 인도는 ‘Make in India’를 주창하며 경제발전의 핵심 아젠다를 기업에서 찾고 있다. ‘Make in India’는 지난해 9월 모디 총리가 발표한 인도의 제조업 육성 캠페인으로, 그동안 대인도 외국인투자를 저해했던 각종 규제 등을 완화하고 25개 분야별 육성대책을 마련함으로써 해외기업의 투자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다.
관련 업계는 우리 기업이 창의적 사업 아이디어를 촉진시키고 중소 창업자와 투자자 간 매칭, 교육, 컨설팅서비스 제공 등 인도 내 창업과 진출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해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선 최근 강화되고 있는 인도의 CSR(기업의 사회적책임) 규제를 창조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인도 현지에서 한국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인도는 회사법 개정을 통해 지난해부터 직전 3개 연도 평균 순이익의 최소 2%를 CSR 활동에 지출하도록 의무화한 바 있다.
특히 인도 진출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삼성, 현대차, LG 등이 공동으로 CSR 활동을 활발히 펼친다면, 현재 국내에 설치 중인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양국 간 중소기업 협력은 지난해 1월 정상회담에서 상호 정상이 강조한 부문이서 그 의미가 한층 배가 되고 있다.
실제로 인도 중소기업의 대부분은 극소와 소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그럼에도 고용과 수출, 지역사회 균형발전 등 인도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도 중소기업은 인도의 고용과 수출의 약 40%를 차지하는 것은 물론, 도시부터 농촌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인도 중소기업이 인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것에는 인도정부가 지난 2006년 중소기업 육성법 개정 및 국가 제조업 경쟁력 제고 프로그램, 제12차 5개년 경제개발 계획 등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 정책 과 프로그램을 강화한 영향이 크다.
▲ 대한상공회의소와 인도상의연합회 등의 주최로 19일 열린 '한-인도 CEO 포럼'에는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한 국내 기업인 200여명이 참가했다. / 사진=이승혜기자 |
인도에서 중소기업의 역할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대인도 진출은 2000년대 이후 증가하다가 최근 후퇴하고 있는 추세다.
우리 기업의 대인도 투자금액에서 차지하는 중소기업 비중이 2007년 21%에서 2013년 8.7%까지 꾸준히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진출 기업 수도 38개에서 18개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대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현지 인지도를 바탕으로 인도 내수시장에 집중적으로 진출해왔다면, 중소기업은 정보와 부지, 현지금융 등의 어려움과 높은 대기업 의존도로 진출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게 사실이다.
이번 인도 경제사절단의 방한을 계기로 양국 정부는 중소기업 지원정책 역량과 민간 기업단체의 역량을 결합시킨 가칭 ‘한ㆍ인도 민관 중소기업 협력센터’를 양국에 설립, 동시 가동하는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 청도 중소기업협력센터와 일본의 ‘재팬플러스(Japan Plus)’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청도 중소기업협력센터는 현지 진출 중소기업의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중기청이 예산을 지원하고 공무원을 파견해 2005년부터 운영 중이다. 재팬플러스는 일본이 인도 상무부내에 설치한 일종의 대인도 투자촉진기구로 경제산업성 공무원 3명이 파견돼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모디 총리와 인도 경제사절단 방한과 관련해 대한상공회의소 한 관계자는 “중소기업 협력 강화를 위한 양국 간의 적극적인 자세가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며 “양국 정부는 양국 기업이 인도 현지에서 우호적 여건을 마련하고, 특히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의 경우 인도시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기업-중소기업 제휴 강화 등의 방안을 마련하는데 힘을 쏟아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세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