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연 대신자산운용 리서치본부장 |
이어 “교육 담당 애널리스트는 펀드매니저 프레젠테이션(PT)에 끼워주지도 않는 등 심한 소외감에 고민을 많이 했다. 당시에는 ‘소외당하면서 이렇게 120페이지의 보고서까지 쓸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이왕 하는 거 끝장을 보자’는 집요한 성격 덕에 오늘이 있는 것 같다”며 “애널리스트가 어떻게 입시 보고서를 이렇게 잘 썼냐는 사람도 있었지만 저의 집요한 성격을 아는 주위 사람들은 모두 이해를 했다”고 덧붙였다.
자신이 주식에 빠져있는 만큼 김 본부장이 선호하는 인재의 가장 중요한 조건은 호기심과 집요함이다. 호기심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직원에는 다른 부서나 금융투자업계가 아닌 다른 분야에서 일하라고 권고한다. 열심히 노력한다고 없던 호기심이 생기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아무리 학력이 높고 스펙이 좋아도 호기심과 집요함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가차 없다.
그녀는 “학력을 어느 정도 갖추면 펀드매니저가 될 수 있지만 호기심 없이 이 분야에 들어온 매니저는 3년까지는 버텨도 절대 성공하는 매니저는 될 수 없다. 그래서 세계 곳곳의 학교를 다니는 등 특이한 경력의 인재를 좋아한다”며 “이력서에 ‘꾸준한 게 장점’이라고 적은 사람은 바로 탈락시킨다. 그래서 아들이 어떤 소리를 해도 호기심을 키우기 위해 다 받아준다. 유치원에서 아들의 ‘표현이 특이하고 자유분방하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강의를 나가보면 펀드매니저가 요가를 2시간씩 하고 와인바에서 와인을 마시는 걸로 환상을 가진 여대생이 많다. 호기심과 집요함은 주식을 제외한 다른 것이 재미가 없어야 한다. 분산되면 안 된다. 그래야 우리 펀드에 꾸준히 고객의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며 “여대생들에 ‘꼴통처럼 세상에 호기심을 가져라’고 조언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주식에만 집중할 수 있기 위해 체력관리에도 늘 신경을 쓴다. 그래서 술도 새 제품이 나와 시음해 볼 때를 제외하고는 절대 마시지 않는다. 삶의 모든 목적이 ‘주식’인 것이다.
그녀는 “성공한 사람은 자신이 그 분야에 미친 줄도 모른다. 그럴 정도로 완전히 빠져 있어야 한다. 미친 줄도 모를 정도로 호기심이 많아야 한다”며 “호기심이 있어야 세상 돌아가는 걸 확인할 수 있고 집요함이 있어야 세상의 변화에 맞춰 몰입할 수 있다. 그래야 좋은 주식을 발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