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태우 기자]지난해 수주 릴레이로 일감은 확보는 됐지만, 인력난으로 어려움을 겪던 조선업계의 인력난이 해결국면에 들어섰다.
정부가 조선업의 극심한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인력 공급에 속도를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이번 달에 외국인 노동자가 대거 투입되고 있고, 힘들다고 예상됐던 올해 첫 달부터 추가수주가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조선업계의 훈풍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왼쪽부터)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전경. /사진=각사 제공
◇조선업계, 인력난 숨통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달 조선업 현장에 새롭게 배치될 외국인력은 총 2000여명이다. 산업부는 지난해 4월19일 관련 제도 개선 이후 지난달까지 외국인 기능인력(E-7 비자)에 대한 고용추천 2257건을 완료했으며, 법무부는 1798건의 비자 심사를 마쳤다.
조선 분야 저숙련 인력(E-9 비자)에 대한 비자 심사도 신속히 진행돼 지난달 1047명에 대한 비자 심사를 완료했다.
이 같은 조치는 지난달 '외국인력 도입애로 해소방안' 발표 후 산업통상자원부와 법무부가 심사 전담인력을 확충한 결과다.
두 부처는 당시 적체돼 있던 비자 심사 대기 건을 처리하고, 기존 4개월 내외 걸리던 국내 행정 절차를 1개월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행정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1개월로 유지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외국인력 고용 절차 간소화 및 채용규모 확대 등의 제도 개선은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조선업에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이어 올해도 희망찬 수주 소식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 잔량은 이미 3년간 건조할 수 있는 물량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되지만, 인력난에 대한 우려가 컸다. 더욱이 올해도 추가로 수주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어 갈수록 인력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24척, 37억7000만 달러(4조7483억 원) 규모를 수주했다. 이는 연간 목표 157억4000만 달러(19조8245억 원)의 24%수준이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수주해 올해 실적으로 잡힌 15억 달러(1조8892억 원) 규모의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1기를 포함해 한달 사이 20억 달러를 수주했다. 이는 올해 수주 목표 95억 달러(11조9671억 원)의 21%에 해당하는 수치다.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아직까지 수주 소식이 없으나 카타르에너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 협상 등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글로벌 선박 발주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이 무난하게 곳간을 채울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집계한 1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196만CGT(72척)인데 이는 전월 대비 22%, 전년 동월 대비 63% 감소한 수치다.
HD현대가 건조해 지난 2022년 인도한 200K LNG운반선의 시운전 하고 있다. /사진=한국조선해양 제공
우선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수주 목표를 보수적으로 설정했다.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은 전년 대비 각각 9.8%, 22.6% 적은 수주 목표를 설정했다. 삼성중공업만 8% 높은 목표 수주를 제시했지만 예년에 비해 적은 수치다.
또 전체적인 선박 발주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로 노후 선박 교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국내 조선업계가 우위를 점하고 있는 LNG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올해 상반기 중 카타르 프로젝트 2차 발주가 있을 것으로 전망돼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은 넉넉한 곳간을 바탕으로 올해 흑자전환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올해의 경우 보수적인 수주 목표를 설정했으나 고부가가치선을 선별수주해 수익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숙련인력 유출 최소화 우선·근무환경 개선 절실
이에 업계에서는 빠르게 인력난 해소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조선업 근로자 수는 9만5030명으로 집계된다. 지난 2014년 말 20만3400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감소세를 지속했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조선 업종 생산 인력이 1만4000명가량 부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가장 큰 리스크는 인력 부족에 따른 건조 차질 가능성이다. 이를 점진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출구는 마련했으나, 숙련인력 유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최우선 목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사들의 생산 능력은 건조 경험을 보유한 인력의 숫자로 결정된다. 문제는 신규 인력이 숙련공이 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선박 건조 전 과정을 경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최소 1년이다. 이 때문에 신규 인력이 숙련공으로 성장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더욱 길 수밖에 없다.
그간 빠져나갔던 조선해양산업 숙련 인력들이 재유입되기에는 현식적인 어려움이 만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조선·해양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서 발간한 2022년 조선·해양산업인력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업계의 숙련된 인력이 임금과 복지 수준이 평균적으로 30~40% 높은 삼성 평택 반도체 공장, 원자력 발전소 건설 현장, SK하이닉스 용인공장 등에 이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숙련인력에 대한 임금, 복지를 지원할 수 있는 자격·교육훈련 체계 구축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한편, 정부는 조선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추가 제도개선 등 다방면의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조선 분야 외국인 용접공 비자 심사와 관련 경력증명서 제출을 한시적(2년간)으로 면제하는 방향의 규제 완화책을 발표하고, 지난달 31일부터 시행 중이다. 경력증명 면제는 2년 간 한시적 운영 후 타당성 여부를 재검토할 계획이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