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한국갤럽조사연구소와 ㈜한국리서치 등 국내 여론조사 업체 34곳이 회원사인 한국조사협회(KORA)가 지난 22일 'ARS방식 퇴출' 등을 골자로 삼은 '정치선거 전화여론조사 기준'을 발표했다. 이 기준이 내년 4월 10일 열릴 총선에서 얼마나 실효적인 영향을 발휘할지 주목된다.
이 기준은, 기계음을 통한 ARS가 아니라 조사원이 직접 통화해 확인하는 전화면접방식을 고수했기 때문이다.
한국조사협회가 이날 보도자료에서 강조한 기준은 크게 5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선거 여론조사 난립을 막기 위해 여론조사 응답률을 최소 10% 이상 넘기겠다는 것인데, 이는 전국 단위 조사에선 휴대전화 가상번호(통신3사 안심번호)를 이용할 경우 최소 10% 이상이고 전화번호 임의걸기(RDD) 방식 조사에선 최소 7% 이상 응답률을 달성하는 것을 골자로 삼는다.
또한 소수점 이하 조사 결과를 쓰지 않고 반올림해 정수로만 표기하기로 했다. "0.8%p 올랐다"는 등 통계학적으로 무의미한 오차범위 내 변화인데도 이를 정확한 수치인양 표기하는 해석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다. 결과 해석에 (소수점 단위로) 과도한 정확성을 부여하는 것을 경계하겠다는 취지다.
셋째로 전체 표본오차 및 지역 연령 등의 하위 변수 표본오차를 고려해, 확인되지 않은 결과에 대한 주관적 추정에 기반한 해석을 삼간다.
넷째로 부재중·통화중인 대상자에게도 최소 3회 이상 재접촉해 최초 조사 대상자의 응답을 받도록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조사원에 의한 전화면접조사만 시행하며, ARS(자동응답조사)는 물론 전화면접조사와 ARS를 혼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2022년 6월 1일 서울 동작구 상도3동 제1투표소가 위치한 강현중학교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한국조사협회는 이에 대해 "불특정 다수에 대량 전송해 녹음 또는 기계음을 통해 조사하는 ARS는 과학적인 조사방법이 아니다"라며 "여론조사뿐 아니라 통신 환경마저 훼손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전화면접조사와 ARS 간의 통계상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정면으로 짚은 것인데, 한국조사협회의 이번 기준 발표가 향후 5개월간 국내 다른 여론조사기관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주목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공식 등록된 여론조사기관은 총 88곳이다.
이 88곳 중 지난 달부터 이달까지 2달동안 정기 정례조사를 시행한 곳은 15곳에 불과하다. 내년 총선 표심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론조사기관이 현재까지는 15곳인 셈이다.
무선전화면접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수행한 곳은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비롯해 ㈜여론조사꽃,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한국리서치 등 6곳(정기 정례조사 3건)이다.
반면 무선ARS 방식으로 정기 여론조사를 수행한 곳은 ㈜리얼미터(유선 3%)를 비롯해 ㈜에이스리서치, ㈜국민리서치그룹, ㈜리서치뷰, ㈜알앤써치, 여론조사공정㈜, 조원씨앤아이, 미디어리서치, 미디어토마토 등 9곳(9건)이다.
ARS 조사방식을 채택한 여론조사기관이 더 많다. 이는 전화면접조사가 수천만원의 비용이 들지만, ARS조사는 수백만원이면 가능하다는 차이점에 기인한다. 더 저렴하게 구색을 갖추어 통계를 돌리는 방식이다.
ARS 방식은 자동음에 따라 기계적으로 응답을 청취한다. 하지만 기계음을 듣자마자 전화를 끊는 경우가 많아 응답률이 대체적으로 낮다. 반대로 전화면접의 경우 질문자가 사람이다. ARS보다 상대적으로 전화를 끊는 비중이 덜해 응답률이 높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일인 2022년 6월 1일 서울 서대문구 홍은2동 주민센터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기표를 하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지난해 초 3개월간 펼쳐진 전국단위 대통령선거 여론조사에서 ARS과 전화면접을 비교해보면, 대체적으로 ARS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많이 나오는만큼 전화면접 방식에서 부동층으로 빠지는 결과가 나왔다. 본보가 확인한 결과, 5~10% 가량의 지지도 차이를 보였다.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또다른 변수는 '무선면접이냐 ARS이냐'라는 조사방식 말고도 많다.
바로 조사의뢰자와 조사기관이다. 조사의뢰자와 기관이 사계약을 맺고 조사를 수행하는데, 모집단 등 구체적인 시행내역은 중앙선관위 기준에만 맞추면 되고 일부는 대외비에 붙인다. 이 때문에 같은 조사기관이라도 의뢰자가 다를 경우, 동일한 조사기간에 조사방식을 쓰더라도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조사기관 특유의 노하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조사모집단도 주요 변수다. 무선전화번호의 경우 통신사들로부터 제공받아 랜덤샘플링으로 돌리지만 추츨틀과 표본 규모에 있어서 제각각이다. 응답률도 그때그때 달라 조사기관과 조사기간이 같더라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질문 내역도 변수 중 하나로 꼽힌다. 질문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던지느냐에 따라 응답자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여론조사별로 실제 질의응답 문장을 전부 공개하고 있지만, 질의응답 차이에 따라 어떠한 결과 차이를 낳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된 바 없다.
이처럼 표본 대표성에 있어서 변수는 정말 여러가지다. 여론조사에 응한 응답자들이 실제 투표장에 가서 투표에 응할지, 적극적인 참여도 또한 변수다.
총선 표심의 향배를 미리 알 수 있고, 일부 유권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여론조사의 공정성과 객관성은 보장되어야 한다. 중앙선관위와 정부가 나서서 이 여론조사 문제를 개선하고 나설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