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쌓이는 원리금 연체"…부실징후기업 지난해보다 46곳 늘었다

2023-12-18 12:00 | 류준현 기자 | jhryu@mediapen.com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올해 채권은행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약 231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46곳이 증가한 수치인데, 기업의 수익성 악화에 더불어 올해 장기화되는 고금리 여파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채권은행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약 231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사진=김상문 기자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정기 신용위험평가에서 약 231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이 118개사, D등급이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사, 12개사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개사, 중소기업(500억원 미만)이 222개사로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 수가 코로나 기간인 지난 2020~2021년에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된 까닭이다. 특히 올들어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게 큰 것으로 알려졌다.

부실징후기업 추이./자료=금융감독원 제공



부실징후기업은 금리 리스크에 취약한 부동산업계에서 집중됐다.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이 22개로 가장 많았고, 도매·상품중개 19개, 기계·장비 18개, 고무·플라스틱 18개, 금속가공업 18개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견줘 고무·플라스틱에서 11개, 자동차에서 8개, 부동산에서 7개, 도매·상품중개업에서 6개 등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이들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올해 9월 말 현재 2조 7000억원 수준으로 건전성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신용공여의 73.4%는 은행권에서 공급됐는데, 은행권은 관련 리스크에 대비해 약 35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은 은행들의 추가 충당금 적립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폭에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기 신용위험평가 개요 및 절차./자료=금융감독원 제공



한편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이 신속히 부실을 정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자구계획 전제 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채무조정)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 해소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지원도 강화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할 것"이라며 "경영위기 중소기업이 유관기관(산업부·중기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추천하고 공동으로 금융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