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KEB하나은행, 청년희망펀드 가입 논란 "오해가 오해를"

2015-09-23 09:44 | 김재현 기자 | s891158@nate.com

[미디어펜=김재현기자] "강요라니요, 오해에요"

청년들의 희망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희망펀드'를 두고 KEB하나은행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강요가 아닌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해인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 22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에서 허정무 한국프로축구연맹 부총재(왼쪽부터), 김정태 하나금융그룹회장, 박세리 선수, 함영주 KEB하나은행장이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하나금융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1일부터 전국 주요은행을 통해 청년희망펀드 가입이 본격화됐다. 청년희망펀드는 공익신탁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청년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직접 제안한 바 있다.

공익신탁 방식으로 추진하는 이유는 청년일자리 창출 지원이라는 공익목적의 의의를 살리면서도 국민들이 쉽게 기부가 가능하고 운영상황이 공시되는 등 투명성이 높은 제도로 기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제고할 수 있기 때문이다.

KEB하나은행은 21일부터,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은 22일부터 가입이 가능하다.  청년희망펀드 출시 소식에 국민들도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청년구직자들의 취업 기회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는 취지에 동감하면서 기부자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부자는 기부금액의 15%(3000만원 초과분은 25%)의 세액공제를 받는다.

박 대통령도 이날 KEB하나은행을 통해 청년희망펀드 첫번째 가입자가 되면서 청년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뒤이어 임종룡 금융위원장, 김정태 KEB하나금융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 윤종규 KB금융 등 3대 금융그룹 회장들도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면서 청년 일자리 창출에 동참했다.

앞서 이들 세 곳의 경영진은 청년희망펀드 기부캠페인에 함께 하면서 연봉 자진 반납분의 50%를 이 펀드에 기부하기로 의기투합했다.

특히 가장 먼저 KEB 하나은행은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가입의 문턱을 열었다. 지난 1971년 6월부터 공익신탁 수탁업무를 유일하게 수행해 왔기 때문이다. 출시 당일 전 영업점 내 공익신탁 전담 창구를 마련하는 등의 발빠른 행보를 보였다.

KEB하나은행에 따르면 공익신탁 업무를 수행한 후부터 지난해 말(만 44년간)까지 34차에 걸쳐 총 1391억원을 수탁했다. 출연된 신탁 원금이나 시탁 이익 총 148억원을 3296곳의 학교와 공익단체에 지원해 왔다.

하지만 KEB하나은행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내부직원들에게 이 펀드의 가입을 강요하면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KEB하나은행은 지난 21일 청년희망펀드 공익신탁 출시와 관련해 청년 일자리 창출 지원이라는 좋은 취지를 살리기 위해 직원들부터 먼저 참여해 통합은행의 이미지를 제고하자는 의미로 안내 메일을 발송한 바 있다.

이에 KEB하나은행 일부 영업점에서는 1인당 1좌에 더해 가족 명의까지 동원시켜 펀드 가입을 유도했다는 불만이 터져나왔다. 사실상 실적 압박이라는 것.

이같은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김문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은 성명을 내고 "수탁은행들이 은행원 본인들부터 청년희망펀드에 가입하라고 했다는 소문이 들렸다"며 "순수 기부로 추진돼야 할 청년희망펀드를 강제 할당하는 것은 본연의 취지를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공익신탁 출시를 통해 고객기반 확대와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라며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날 앞서 김정태 회장은 청년희망펀드 가입행사에서 기자들에게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으며 먼저 은행원들이 가입해봐야 고객들에게 가입관련해 설명할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은 22일 일부 직원들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추가로 메일을 보내 자발적으로 참여토록 안내했다.

기부는 말 그대로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다. 다만, KEB하나은행 내부에서 불거진 청년희망펀드의 강요 가입 진실의 사실확인에 소모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가 노사정 대타협을 계기로 청년 일자리 등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내놓은 후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의견들이 모아졌다.

경제계에서도 일자리 만들기에 적극 앞장섰다. 금융권도 청년 일자리를 위해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채용에서 부터 청년실업해소 지원 상품들을 출시했다. 한시라도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희망펀드가 정착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해야 할 때다.

청년문제는 정부의 몫이 아니다.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합심해야 한다.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관심을 갖고 미래 세대의 건강한 고용문화 정착에 하나가 되야 하는데도 이번 논란으로 '박근혜 대통령 청년희망펀드 기부 강요'라는 글이 일파만파 퍼져나가면서 정치적 쟁점으로 부각되는 소모전 양상으로 전개 되는 점이 안타깝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EB하나은행에서 불거진 청년희망펀드 가입 오해가 오해를 낳고 있는 것이다.

이번 논란으로 금융권의 청년 일자리 동참 의지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강요에 의한 가입을 유도했는지에 대한 사실을 확인하기 전에 청년희망펀드가 원할히 정착할 수 있도록 모두 힘을 합해야 할 때"라며 "금융권의 청년 일자리 지원 동참이 전 금융권의 노력임은 분명한데 이런 오해로 금융권의 사기저하로 보일까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