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건설업 수익·성장성 지표 악화 지속…"금융지원 절실"

2024-09-22 09:43 | 김준희 기자 | kjun@mediapen.com
[미디어펜=김준희 기자]건설기업들이 악화한 경영여건 속 여전히 보릿고개를 넘지 못하고 있다. 수익성·성장성 지표가 동반 하락세를 띄는 가운데 위기 극복을 위해선 정부 정책금융기관 지원 확대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올해 2·4분기 건설업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22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한국은행 ‘2024년 2·4분기 기업경영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2·4분기 건설업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세전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올해 2·4분기 건설업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3.24%로 전년 동기 3.40%보다 0.16%포인트 내렸다. 건설업 매출액영업이익률 또한 지난해 2·4분기 3.35%에서 올해 2·4분기 2.97%로 0.38%포인트 감소했다.

수익성 악화와 높은 금융비용으로 인해 이자보상비율 또한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다. 올해 2·4분기 건설업 이자보상비율은 229.70%로 전년 동기 238.68% 대비 8.98%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2·4분기 전산업 수익성 지표가 모두 개선된 반면 건설업은 하락세를 띄었다. 전산업 매출액세전순이익률, 매출액영업이익률, 이자보상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9%포인트, 2.60%포인트, 165.79%포인트 상승한 6.74%, 6.24%, 418.22%를 기록해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반대로 건설업 수익성 지표는 하락했다.

성장성 지표인 총자산증가율과 매출액증가율 또한 모두 내림세를 보였다. 올해 2·4분기 건설업 총자산증가율은 2.20%로 전년 동기 2.26% 대비 소폭 하락했다.

매출액증가율은 올해 1·4분기 3.97%에서 2·4분기 0.86%로 3.11%포인트 내리며 0%대에 머물렀다. 건설업 매출액증가율은 지난해 2·4분기 12.31%에서 3·4분기 11.87%, 4·4분기 6.35%로 지속해서 하락해왔다. 올해도 감소세를 이어오다 0%대에 이르렀다.

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수치상 하락세를 나타냈으나 이는 건설업 표본 개편에 따른 영향이라는 게 건산연 측 분석이다.

건산연은 “올해 2·4분기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 표본 개편 결과 삼성물산이 도매 및 소매업(G)에서 건설업(F)으로 분류됨에 따라 건설업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가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건설기업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폐업 신고 또한 늘어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건설기업 폐업 신고는 1809건으로 지난 2020년 상반기 1289건 대비 140%나 증가했다.

건산연은 “건설경기 장기불황으로 자금난을 겪는 건설기업들이 더는 버티지 못하고 자진 폐업한 결과로 보인다”고 바라봤다.

주택시장 또한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살아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회복세가 더디다.

국토교통부 ‘2024년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4037가구로 전월 대비 2.6% 증가했다. 이른바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규모 또한 1만4856가구로 전월 대비 12.3% 늘었다.

건설경기 장기 침체로 건설기업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구제를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건설업 취업자 수가 지난해 기준 216만8000명으로 전체 고용의 7.7%에 달하는 만큼 서민 소득 향상을 위해서도 건설기업의 지속 경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게 건산연 측 의견이다.

실제 특정 산업의 생산활동이 경제 전체의 직·간접적 고용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나타내는 취업유발계수를 살피면 2020년 기준 건설업은 생산액 10억 원당 10.5명으로 주력 수출 품목인 컴퓨터와 전자장비 등 조립가공제품(5.3명), 금융 및 보험 등 생산자 서비스(7.7명)보다 월등한 고용창출력을 보인다.

임기수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경기 장기 침체로 부도와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건설기업이 작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용보증기금을 비롯한 여러 정책금융기관의 지원 확대가 절실하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