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저축은행들은 올해도 적자 행진을 이어가며 힘겨운 한해를 보냈다. 고금리 기조 장기화와 경기침체 영향으로 연체율도 악화하면서 저축은행들은 대출 문턱을 높이며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했다.
국내 저축은행 79개사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 363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손실폭이 2090억원 확대됐다.
이자비용은 9160억원 감소했지만, 여신 축소로 이자수익이 8826억원 줄었고, 대손충당금이 2572억원 증가한 영향이다.
다만 3분기만 떼어놓고 보면 258억원의 흑자를 내면서 직전 분기보다 순익이 개선됐다.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및 수신금리 안정화에 따른 이자비용 감축 영향이다.
저축은행은 2022년 하반기부터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수신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비용이 증가했다. 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손충당금 적립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9년 만에 적자로 돌아선 이후 올해까지 적자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저축은행들은 수익성 확대보다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며 대출 문턱을 높이고 수신 잔액을 줄이며 외형을 축소해왔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2월까지 5개월간 줄어들던 저축은행 수신 잔액은 3월 103조7449억원으로 반짝 반등한 이후 4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여신 잔액은 8월 말 96조5929억원으로 전월(96조9415억원) 대비 3486억원 줄며 지난해 1월 115조6003억원에서 19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여왔다. 지난 5월(99조9515억원) 2년6개월 만에 100조원 밑으로 떨어진 저축은행 여신은 4개월 연속 100조원을 하회했다.
그러나 하반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움직임에 대출 영업을 재개하면서 수신 잔액은 8월 들어 1조원 넘게 늘며 한 달 만에 다시 100조원대를 회복한 이후 증가세를 보였으며, 여신 잔액도 9월 말 97조893억원을 기록하며 전월보다 4964억원 늘어 20개월만에 증가 전환했다.
또 저축은행업계는 부동산 PF 부실채권 정리와 정상화를 위해 경·공매와 공동펀드 매각 등에 나서고 있으나 부동산 경기가 되살아나지 못하면서 속도가 붙지 않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저축은행 경·공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10월 말 기준 저축은행이 경·공매를 통해 정리한 사업장은 총 40건으로 3292억원 규모다. 전체 건수 대비 20%에 불과하고 금액 기준으로는 15% 수준이다.
이에 연체율이 악화하면서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올해 3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전분기(8.36%) 대비 0.37%포인트(p) 상승한 8.73%로 집계됐다. 기업대출이 13.03%로 전분기(11.92%) 대비 1.11%p 올랐다. 가계대출은 같은 기간 0.26%p 하락한 4.54%였다.
NPL 비율은 11.16%로 전분기(11.53%)보다 0.37%포인트 하락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두자릿수대를 기록 중이다. 전체 여신의 11.6%가 회수 불가능한 부실채권이라는 의미다.
다만 현재 감내 가능한 리스크 수준을 우려하는 부실 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5.18%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해두고 있다.
또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2011년 부실 사태 이후 PF에 대해 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해야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되고 있으며 부동산담보대출 규모도 축소하고 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