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가 결정되며 정치 테마주가 술렁이는 모습이다. 이제 남은 건 이달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다.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이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에도 영향을 미칠지, 투자자들의 눈치싸움도 한층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가 결정되며 정치 테마주가 술렁이는 모습이다. 사진은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의 모습.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윤석열 테마주로 꼽히는 NE능률은 전일 대비 2.33% 오른 4840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초반 16.28% 급등한 5500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 8일 석방돼 관저로 돌아간 영향이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NE능률은 법원이 구속 취소 청구를 낸 지난 7일에도 14.11% 급등 마감한 바 있다.
지난 7일 윤 대통령의 형사재판을 맡은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는 윤 대통령 측의 구속 취소 청구를 받아들이면서 윤 대통령이 구속 기간이 만료된 상태에서 기소됐다고 봐야 한다고 해석했다.
반면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테마주로 꼽히는 종목들은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재명 테마주로 여겨지는 동신건설은 같은 시간 1.74% 하락중이고, 오리엔트바이오(-3.28%), 에이텍(-2.59%) 등도 내림세를 기록 중이다.
여권 대선 주자 테마주도 마찬가지다. 오세훈 테마주인 진양화학(-3.93%), 한동훈 테마주인 대상홀딩스(-1.06%), 안철수 의원이 창업한 안랩(-3.03%) 등도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헌재의 탄핵 심판 결과에 쏠린다. 변론 종결 후 2주가 지나는 오는 금요일(14일)이 선고 유력일로 거론되는 상황이다. 지난 1988년 출범한 헌재는 그동안 8건의 탄핵심판을 심리했다. 이 가운데 7건이 목요일 또는 금요일에 선고됐다.
증권가에서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당시 정치인 관련 테마주의 변동성이 심했던 만큼 지나친 투자는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직전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던 정치 테마주는 선고 이후 이벤트 소멸에 대거 급락세를 나타낸 바 있다.
또 문재인 전 대통령 테마주인 DSR은 2017년 탄핵 심판 선고일 직전 한 달간 55% 올랐지만, 선고일 이후 한 달간 20% 급락했다. 또 다른 문재인 테마주인 우리들휴브레인 역시 선고일 직전 한 달간 5% 올랐으나 선고 이후 한 달 동안 25% 급락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실적이나 실제 사업 내용과는 무관한 경우가 많다”면서 “일시적 이슈로 움직이는 만큼 주가가 상승했더라도 뛰어 오른 주가를 유지하는 게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이벤트가 소멸할 경우 주가가 원상 복귀 하거나 이전보다 더 낮은 수준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면서 “일회성 호재에 급등락을 반복하는 등 변동성이 큰 만큼 지나친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