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근로환경 개선'이 장점
인건비 절감·무인산업 아닌 최적화 목표
정부, 고도화 추진에 예산 소진 급감 예상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인건비 절감과 매출 증가 효과보다는 관리 효율성 측면에서의 혁신이 이뤄지는 게 핵심인 것 같다."

'2018 스마트공장 엑스포' 현장에서 마주친 한 제조업체 근로자는 스마트공장 구축 필요성에 대해 '효율성과 편리성'을 꼽았다.

자신을 자동차 부품 전문 제조업체 근로자라 밝힌 A씨는 "대다수 기업들이 매출 증대 등을 장점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론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경영자나 근로자 입장에선 공정의 왕복시간(RTT·Round Trip Time)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일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 근로자들은 근로환경 개선을 가장 큰 성과로 본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공장추진단이 구축 기업 근로자 2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근로자 중 42.9%는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얻은 성과에 대해 근로환경 개선이 가장 크다고 응답했다. 업무·공정 개선 및 간소화(39.4%), 생산 과정상 문제 해결(29.4%), 생산성 향상(26%) 등도 뒤를 이었다.

   


배현구 스마트공장추진단 기술기획팀 선임연구원은 "스마트공장하면 생산 자동화를 통한 인건비 절감 등 무인 산업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궁극적인 목표는 공장 최적화에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의 기술은 기존 제조 설비에 센서와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및 평가, 원격정밀제어 등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돼 운영된다.

여기에는 생산운영시스템(MES)와 기업자원관리시스템(ERP) 등을 적용한 소프트웨어가 기초적으로 뒷받침되어야만 그 다음 자동화 단계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날 현장에는 설비와 공정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감독·진단 할 수 있는 솔루션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기기가 전시됐다.

CC-Link 기업 부스에서 산업용 통신 기기를 살펴보던 삼성전자 관계자는 "현재 쓰고 있는 네트워크는  하나에 오류가 발생해도 어디서서 이상이 일어났는지 알 수가 없어 매번 찾느라 애를 먹는다"면서 "이 기기로 교체 시 속도도 기가로 빨라지고 특정 구간에서 이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걸 알려준다고 하니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스마트공장의 경우 구축 비용 많이 들어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꺼려지는 게 현실이다.

단순 공정에 들어가는 협동로봇도 국산 하드웨어로만 조립해도 개당 2000만원을 유지하는 등 솔루션 비용 등도 추가돼 정부의 보조금 없이는 도입이 어렵다는 게 기업들의 반응이다.

이날 우수사례관에서 제조업체 '연우'의 스마트공장 구축 비용을 살펴보던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여기 나온 사례처럼 정부 보조금 5000만원에 기업 부담금 7000만원 정도면 할만 하지만 기업이 모든 비용을 순수 부담하라고 한다면 꺼려지는 게 사실"이라며 "일반적으로 의뢰하면 컨설팅 받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들어가는 것만 해도 10억을 부를 때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2만개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중소벤처기업부의 예산은 연간 목표치보다는 부족한 실정이다.

올해 중기부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소진 예산은 410억원 정도로 최대 지원 금액은 초기 단계 도입 때만 5000만원, 고도화 1억원, 글로벌화는 1억 8000만원이 지원된다.

정부가 말하는 초기 단계는 생산설비나 물류 등의 정보를 기초 ICT(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수집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업그레이드 하면 고도화 단계에 들어설 수 있다. 이때부터는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설비를 자동화하고 제어할 수 있다.

사실상 고도화 단계에 들어서야만 정부가 예상하는 스마트공장의 윤곽이 드러나는 셈인데, 올해부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기초 구축 지원 없이 고도화만 추진한다는 계획이라 예산 소진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