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문' 발표…수소환원제철 등 혁신기술 개발
'철강 디지털전환 연대' 출범…생태계 지능화·환경문제 해결 등 모색
[미디어펜=나광호 기자]미국·유럽연합(EU) 등에서 탄소국경세 도입이 거론되는 등 철강업계를 둘러싼 압박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내 업체들이 리스크를 기회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출범한 '그린철강위원회'는 철강업계의 2050 탄소중립 논의를 위한 산·학·연·관 협의체로, 최정우 포스코 회장과 민동준 연세대 부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 2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에 참석한 (앞줄 왼쪽부터) 김연극 동국제강 사장,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 김학동 포스코 사장, 최정우 한국철강협회 회장,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민동준 연세대학교 부총장, 최진식 심팩 회장, 이세철 KG동부제철 대표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한국철강협회


최 회장은 "탄소중립은 공급과잉·보호무역·철강재 수입 증가 등 지금까지 극복해 왔던 도전과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모든 측면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철강산업은 2019년 기준 1억1700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내 배출량의 16.7%, 산업부문의 30% 수준이다. 

김학동 포스코 사장, 안동일 현대제철 사장, 김연극 동국제강 사장,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 이세철 KG동부제철 대표를 비롯한 6개사 최고경영자(CEO)는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에 서명하는 등 국내 산업계 최초로 탄소중립에 대한 적극 동참 의지를 표명했다. 여기에는 △신기술 개발 및 생산구조 전환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 △정부 정책과제 발굴 및 제언 △미래 지속가능 경쟁력 향상 △국제협력 강화 등이 포함됐다.

업계는 정부를 향해 청정에너지 사용·자원순환 기업 대상 인센티브 확대 등 탄소중립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요청했으며, 그린수소·재생에너지 전력의 안정적 공급 및 부생가스 활용 수소사업에 대한 지원 등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연구개발(R&D) 지원과 수소·그린전력 기반 확충 및 국제 탄소규제 논의 대응 등 업계의 건의를 검토하고, 관계부처·유관기관과 협의해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 (왼쪽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포스코 포항제철소,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동국제강 당진공장, 세아제강 포항공장/사진=각 사


디지털 전환이 기후변화 대응 및 고령화로 인한 숙련 조업자 감소 등 산업경쟁력 유지·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 받는 것에 착안, 디지털 철강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연대·협력 프로젝트도 출범시켰다.

경쟁국 업체들이 디지털 역량 확보에 매진하고 있는 반면, 2019년 7월 포스코가 국내기업 최초로 세계경제포럼(WEF) '등대공장'에 선정됐음에도 국내 철강 생태계 전반의 디지털 경쟁력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연대는 포스코·현대제철·세아그룹·동국제강·한국재료연구원 등으로 구성되며, 안전·환경문제 해결과 철강 생태계 지능화 및 제조공정별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3가지 측면에 역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우선 전기로를 인공지능(AI)로 조업하는 설비로 탈바꿈시키고,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철강센서를 자립화한다는 목표다. AI 기반의 원료·전력관리 등 철강공정의 전·후방 산업까지 디지털 전환을 확장,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생태계 내 데이터 수집·분석·활용을 고도화하기 위해 빅데이터 용광로를 만들고, 스마트 안전작업 솔루션 및 미세먼지 추적 기술 등을 상호 벤치마킹하고 공동연구도 한다는 방침이다. AI 인력 교육 등에 5년간 7000억원이 넘는 자금도 투자한다.

이와 관련해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철강산업이 흔들림 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전환에 기초한 근본적인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조만간 '산업 디지털전환 확산전략을 수립하고, 업종·기능별 세부 추진방안도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