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YTN 캡처 |
[미디어펜=김지호 기자] 중국 증시가 새해 첫날부터 폭락세를 나타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중국 증시는 CSI 300지수가 장중 7% 급락하면서 오후 2시34분(한국 시간)부터 거래가 전면 중단됐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날 장중 세 차례에 걸쳐 4% 급락세를 보이다가 6.85% 폭락한 3296.66에서 거래를 중단했다.
선전성분지수도 8.19% 폭락한 2119.90에 거래를 중단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하루 7% 이상의 폭락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8월 25일 7.63% 하락 마감한 이래 약 4개월 만에 처음이다. 중국은 올해 1월 1일부터 본토 대형주 중심으로 구성된 CSI300지수가 5% 이상 등락하면 거래가 15분간 중단하고 7% 이상 등락할 경우 당일 이후 거래는 완전히 중단하는 서킷브레이커를 처음 도입했다.
서킷브레이커가 도입되자마자 발동된 셈이다.이날 중국 증시의 폭락으로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전거래일 대비 3.06% 떨어진 1만8450.98로 마감했다. 코스피지수 역시 2.17% 내린 1918.76으로 각각 마쳤다.
중국 증시의 폭락은 12월 중국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게 나온 것이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된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12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2를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인 48.9는 물론 전월의 48.6을 밑도는 수치다. PMI가 50을 밑돌면 경기 위축을, 웃돌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경기 위축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면서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만들었다.
여기에 오는 8일 중국 상장사 대주주 및 주요 임원의 보유 지분 매각 금지령이 해제될 것으로 예정되면서 매물 출회에 대한 우려감도 작용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증시가 폭락하자 상장사 주요 대주주의 지분 매각을 6개월간 제한한 바 있다.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1월 중 대주주들의 매각이 가능해지는 지분의 잠정적 규모는 1조1000억 위안(195조6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체 A주 유통시장의 시가 총액의 5.2%에 달하는 규모다.
올해부터 중국 증시가 기업공개(IPO)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는 것도 증시의 물량부담을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되는 불안 요소다. 또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간의 갈등이 높아지면서 위험자산의 선호 심리를 위축시켰다.
다만, 이번 중국 증시의 폭락은 일시적이라는 게 전문가의 진단이다. 증시가 폭락하면서 중국 정부가 증시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박석중 신한금융투자 차이나데스크팀장은 “과거 12개월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68배로 금융위기 때인 1.9배보다도 낮은 상태다. 매력적인 구간에 진입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나올 것이기 때문에 공격적 매매보다는 안정화되는 것을 보고 분할매수 전략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박석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중국 증시가 당분간 불안할 수 있겠지만 PMI지수 하나로 중국 경제가 어렵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 제조업 둔화는 미국 등도 겪고 있는 현상”이라며 “오히려 중국 경제의 성장률 전망치가 완만히 올라가고 있어 중국 증시의 추가 하락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으로 결국은 중국 증시가 안정화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기준금리와 지준율 인하 등 다양한 부양책을 잇달아 쏟아내면서 증시의 폭락세를 진정시키는 데 성공한 바 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정책이 워낙 변화무쌍하지만 8일 매각 금지 해제령 이후 증시가 큰 변동성을 보일 경우 중국 정부가 나서서 증시를 안정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