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세헌기자] 우리나라와 중동이 물류사업 협력을 통해 경협 다각화를 꾀하면서, 이를 국내 중소기업의 대 중동 진출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이일형)이 최근 내놓은 ‘GCC 국가들의 물류허브 구축전략과 한국의 협력 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GCC(걸프협력기구) 국가들은 장기 국가비전과 5개년 개발계획 등을 통해 석유 및 가스 부문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을 탈피하기 위한 경제다각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는 비석유 민간부문을 확대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물류허브 구축전략은 공항, 항만, 도로 등 물류 인프라와 배후단지 개발을 통해 다양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육성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제다각화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지리적 위치와 산유국의 경제적 이점을 활용해 가장 적극적으로 물류허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나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꼽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자국 내 산업단지 개발과 제조업 육성을 고려한 물류허브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UAE는 내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재)수출에 중점을 두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이를 활용하는 기업 관점에서는 배후단지의 금융·세제 혜택 등을 이용하는 배후단지 활용형, 다른 주변국으로의 진출 용이성에 초점을 맞춘 물류거점 활용형, 내수 판매에 집중하는 내수시장 활용형 등으로 구분해 진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보고서의 제안이다.
보고서는 중동 국가들과의 물류 협력 방안으로, 우선 산업별 밸류체인에 기반해 물류를 연계시키는 ‘산업-물류기업 동반 진출방안’을 제시했다. 일례로 할랄식품의 경우 현지의 배후단지에서 가공, 포장, 라벨링 공정 등을 수행하되, 국내에서 현지까지의 항공물류와 현지 유통을 접목시키는 것이다.
또 최근 대이란 제재 해제를 계기로 확대된 이란 시장 진출을 위해 GCC 국가들의 항만 배후단지를 대이란 수출의 전초기지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란이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아제르바이잔 등 코카서스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는 점을 활용하면 물류협력 효과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지 물류기업과 공동투자를 통해 합작회사를 설립하거나 현지 기업을 인수하는 등 투자 진출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무역지대 내 모듈 조립라인 건설과 역내 물류를 통합하는 패키지 투자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금융조달역량을 강화하는 지원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중소 물류기업들에게 업종별 물류수요, 현지 협력업체 동향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물류정보 플랫폼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현지 협력업체들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중동 국가들과의 물류 협력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진출을 더욱 확대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는 한·중동 경제협력이 한층 더 고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