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세헌기자] 전력 수요가 낮은 시간대에 전력을 저장했다가 수요가 높은 때 전력을 공급하는데 이용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저장장치는 크게 가정용 및 상업용, 전력용으로 분류된다.
가정용과 상업용은 개별 가정이나 학교, 병원, 주유소, 오피스빌딩 등에 설치된 태양광발전 등의 자가 발전시설과 연동, 밤에 전력을 모았다가 수요가 많은 낮에 공급하는 피크 시프트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세계 리튬이온 이차전지 배터리 시장에서는 201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서 LG화학과 삼성SDI가 세계 정상 업체로 꼽힌다. / 사진제공=LG화학
전력용 에너지저장장치 역시 마찬가지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는 일정한 시간대에만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에너지를 비축해두는 에너지저장장치가 필요한데 발전소와 송배전망,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에 설치돼 발전효율과 송배전 안정성을 높이는 장치가 전력용 에너지저장장치다.
에너지저장장치가 에너지를 가둬두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에너지저장장치 구축업체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마다 배터리 업체와 협업이 우선시 돼는 이유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배터리 시장은 크게 자동차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 소형 IT기기용 배터리 시장으로 나뉜다.
소형 IT기기 시장에서는 삼성SDI가, 자동차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 분야에서는 LG화학이 세계 정상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중국이 소형 배터리 시장에서 이미 파나소닉, 소니 등 일본을 제치면서 우리나라와의 점유율 격차를 줄여나가면서 선두주자인 우리 업체들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최근 시장조사기관 B3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모바일·IT용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 규모는 50억7200만셀로 전년(47억600만셀) 대비 7.8% 올랐다.
모바일·IT용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은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로 덩달아 성장세가 정체상태를 보였으나, 보조배터리 사용이 늘어나고 전기자전거 등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지난해 다시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삼성SDI가 지난해 12억7800만셀, 25.2%의 시장 점유율로 선두를 지켰다. LG화학은 8억6000만셀, 17%로 2위를 유지했다.
2015년 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업체 평가 순위 / 자표출처=네비건트 리서치
일본의 파나소닉이 14.7%(7억4400만셀), 중국의 ATL이 11.4%(5억8000만셀), 일본의 소니가 8.5%(4억3000300만셀)의 시장 점유율로 톱 5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중국의 리센(3억2900만셀, 6.5%), 코스라이트(1억7900만셀, 3.5%), BYD(1억6900만셀, 3.3%), 일본의 막셀(1억700만셀, 2.1%), 중국 BAK(8600만셀, 1.7%)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소형 이차전지(2차전지) 시장 판세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세계정상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 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국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11년 40.9%의 시장 점유율로 일본으로부터 정상을 물려받은 우리나라는 2012년 42.5%, 2013년 42.2%, 2014년 46.5%에 이어 지난해 42.2%로 경쟁국들을 제쳤다.
우리나라에 정상을 내준 일본은 2012년(29.6%) 시장 점유율이 30% 밑으로 떨어진 뒤 2013년 27.1%, 2014년 28%, 지난해 25.3%까지 내려갔다.
이에 반해 중국은 2011년 18.7%에서 2012년 23%, 2013년 25.2%, 2014년 21.6%에서 이어 지난해 26.5%까지 끌어올려 일본을 제치고 국가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인 자국 시장을 중심으로 이미 TV와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세계 정상인 우리나라를 위협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각종 정책을 잇따라 마련해 IT 산업 발전을 강력히 지원하면서 발전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 부문에서도 세계최고의 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차전지 분야에서는 아직까지는 대형인 전기차 배터리와 소형인 모바일·IT용에서 모두 우리나라와 격차가 있지만, 중국의 경우 이미 일본을 뛰어넘은 만큼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중국 정부가 전기차(전기버스) 배터리 보조금 정책을 우리 업체에 불리한 방향으로 변경한 것도 자국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