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결정이 3월초 결론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5월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졌다. 최순실 사태를 겪으면서 이번 대선은 그 어느 때보다 후보 검증이 까다로울 전망이다. 19대 대통령선거에 출마를 선언했거나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들의 강점(Strength)·약점(Weakness)·기회(Opportunity)·위험(Threat) 등을 분석한 ‘SWOT’를 분석해본다.
지난 10년간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귀국하면서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반기문 후보가 ‘개헌’을 기치로 내걸고 제3지대에서 세력 규합을 시도하고 있다.
최순실 국정논단 사태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불러온 정국에서 견제와 균형을 전제로 한 개헌은 시대정신이 됐다. 따라서 개헌과 책임총리를 고리로 ‘빅 텐트’ 구축에 성공한다면 ‘문재인 대세론’을 꺾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
반면, 반 후보가 귀속한 정당도 없이 귀국 직후부터 ‘1일 1사고’라고 할 만큼 언행마다 논란이 일면서 지지층에서 큰 바람을 일으키지 못한 채 지지율이 정체하고 있다. 앞으로 50년에서 100년간 안 나온다는 유엔 사무총장 출신이 대선에 나섰다가 ‘중도 포기’하는 상황으로 몰릴 수도 있다.
반기문 후보의 강점은 여권에서 이렇다 할 대선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귀국 전부터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이어 2위를 유지하는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는 점이다. 그가 어떤 발언과 정책을 내놓느냐에 따라 새누리당과 바른정당은 물론 중도 세력까지 아우르는 보수 진영을 재편할 수 있다.
반 후보가 대선에 완주하려면 창당할 수준의 여권 현역의원들을 규합해 세력을 키운 다음 손학규·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와 힘을 합쳐 제3지대 형성에 성공한 뒤 국민의당까지 아우르는 빅 텐트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지난 10년간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귀국하면서 대선 출마를 선언한 반기문 후보가 ‘개헌’을 기치로 내걸고 제3지대에서 세력 규합을 시도하고 있다. 개헌과 책임총리를 고리로 ‘빅 텐트’ 구축에 성공한다면 ‘문재인 대세론’을 꺾을 가능성이 남아 있다./연합뉴스
하지만 이럴 경우 반 후보의 강력하고도 균형잡힌 리더십이 필요하다. 어떤 특정 세력에 휘둘려 정체성 혼란을 보일 경우 자칫 보수 진영의 ‘집토끼’들을 대거 놓칠 수도 있다. 이를 막으려면 최대한 제3지대에 맞는 합리적인 대안과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대선 출마 선언도 하기 전에 높은 인기를 모으고 있는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지율까지 흡수할 수 있다면 반 후보에게는 최대 강점이 될 것이다.
결국 빅 텐트에 최적화된 것이 반 후보의 강점이고, 빅 텐트 성공은 기회가 될 것이지만 동시에 실패한다면 약점이 된다. 최근 문재인 후보가 반기문 후보 지지율보다 2배 앞선 상황에서 차기 대통령선거를 다자구도로 치르는 일만큼은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누구든지 여권에서 나선 대선후보이든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이든 반 후보에게 집중될 표를 분산시킬 수밖에 없다.
빅 텐트의 성공은 반 후보의 지지율이 결정할 것이다. 지지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반 후보가 갖고 있는 낡은 기성세대 이미지에서 벗어나야 한다. 유엔 사무총장 경험이 적중하는 결정적인 정책도 제시해야 한다. 외교관에 대한 선입견이나 친 이명박계 위주의 캠프 구성을 감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장점이 된다는 점을 부각시켜 정면돌파 할 필요도 있다.
사드배치에 반대하던 문재인 후보가 모호한 발언으로 중도세력 흡수를 시도하고 있고, 안희정 후보 역시 지난 정체성에서 완전히 벗어나 합리성으로 변신에 나섰다. 주요 야당 후보들이 서로 경쟁하듯 지지층을 불려가고 있는 것이 반 후보에게는 큰 위험 요소이다. 반 후보는 보수층의 이탈도 막아야 하는데다 중도를 끌어들여야 하는 이중노력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이들과 경쟁하려면 반 후보의 뚜렷한 차별화가 필요하지만 국내 정치에서는 초년생이나 다름없는 반 후보에게 당장 익숙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국제무대에서의 오랜 경륜만큼은 어느 후보도 경쟁 상대가 안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런 자신감으로 노련함을 회복하고 ‘사즉생’의 심정으로 여유 있는 행보를 보인다면 여론도 달라질 것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