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최주영 기자]금호타이어 매각의 쟁점인 상표권 사용 조건을 둘러싸고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채권단 수정안에 대한 답변을 18일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정치권과 여론은 박 회장쪽으로 기우는 모양새다.
박 회장의 답변 예정일 전날 열린 최종구 금융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는 금호타이어 해외 매각에 부정적인 입장을 가진 의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이날 청문회에서 채권단의 협상태도를 공식 문제삼으며 "금호타이어를 중국 더블스타에 매각할 경우 제2의 쌍용자동차 사태가 우려된다"고 강조했고 이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차 '먹튀'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최 후보자가 "산업은행과 우리은행 중심의 채권단에 맡겨놔야 할 문제"라고 선을 긋자, 김경진 의원은 "산업은행이 (더블스타와) 매각가 조정 과정에서 3, 4년 고용 보장을 할 경우 매각가가 낮아질 수 있어 2년 보장을 약속했는데, 그만큼 근로자의 생존권에 대해선 신경을 쓰지 않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용진 의원 역시 “금호타이어는 호남지역 기업이라는 특성과 고용 불안에 대해 잘 살펴야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매각이 되면) 2년 정도 고용유지가 된다고 하는데 이게 더 불안하다. 그럼 2년 뒤면 고용관계가 어떻게 되는 것이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앞서 금호타이어 임원들은 지난 13일 공동 결의문을 내고 "더블스타로 매각되는 것에 반대한다"며 "매각 시 전원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자리에서 임원들은 "부적격업체인 더블스타로의 매각에 결사반대한다"며 "금호타이어가 금호아시아나그룹 소속으로 남을 수 있기를 채권단에게 강력히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금호타이어 연구원 및 본사 일반직 사원 750여 명도 경기도 용인 중앙연구소와 서울 종로구 본사 사옥에서 각각 경영 정상화를 위한 사원 간담회를 열어 채권단에 매각 중단을 요구했다.
금호타이어의 임원들과 부서장들이 매각 위기에 처해 있는 회사의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하고 회생을 위한 결의를 다짐했다./ 사진=금호타이어 제공
이런 가운데 금호타이어 기반인 호남지역 경제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도 기술력의 해외유출, 고용 불안정, 지역근로자 생존권 위협 등을 우려하는 매각 반대 여론이 거센 상황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과 업계에 따르면 박 회장 측은 이날 오후 채권단의 상표권 수정 제안에 대한 최종 입장표명을 앞두고 다양한 카드를 고심하고 있다.
앞서 채권단은 더블스타의 상표권 사용조건과 관련해 12년 6개월 동안 더블스타와 박 회장(0.5%)이 제시한 사용 요율의 차이인 0.3% 만큼을 보전해주고, 7년 6개월 동안은 0.3%를 적용하는 안을 금호산업측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금호산업의 이사진들은 부정적 뜻을 내비쳤다. 금호 상표권에 대해 더블스타가 12년 6개월 동안 사용한다는 전제가 없고, 이 중 7년 6개월 동안 사용요율이 0.3%로 적용된다는 점에서 결과적으로 12년 6개월간 평균 사용 요율은 0.38%가 된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14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개최한 '2017 하반기 전략경영회의'에서 금호아시아나 임원진 150여명도 이에 대한 우려를 내비쳤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한 임원은 "산은의 수정 제안은 더블스타와의 계약(연 매출 0.2%, 5년 사용 후 15년은 언제든 해지 가능)을 근본적으로 바꾼 게 아니라 차액(847억원)만 보전해주는 셈"이라고 매각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업계에서는 이날 박 회장이 채권단에 꺼낼 두 가지 카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첫째는 박 회장 측이 채권단 측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더블스타는 금호타이어 방산부문 인수승인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 신청하고 채권단과 금호타이어 채권만기 연장을 놓고 협상을 진행하는 등 매각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두번째는 박 회장 측이 당초 채권단에 요구했던 상표권 사용기간 20년을 충족시키지 못했고 현재 더블스타와 채권단이 체결한 상표권 사용기간이 5년이라는 점 등을 들어 개선을 요구하면서 9월까지 시간을 끄는 방법이다.
박 회장 측은 중국사업(난징.톈진.창춘 공장과 상해판매법인) 매각안과 함께, 기업 정상화 후 유상증자 지분과 채권단 지분을 합친 53%를 경쟁입찰로 공동 매각하자는 안도 내놓은 만큼 추후 재매각 추진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박 회장 측이 이날 채권단의 수정 절충안을 받아들일지 채권단에 또다른 절충안을 제시할 것인지 주목된다.
[미디어펜=최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