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우현 기자]SK텔레콤과 하나금융지주의 합작법인 주식회사 '핀크'가 출범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 SK텔레콤과 하나금융그룹이 각각 51%, 49%의 비율로 출자한 합작법인이다.
통신과 금융을 결합한 '핀크'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항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특히 통신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SK텔레콤이 인터넷은행에 뛰어듦에 따라 해당 시장이 어떻게 재편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핀크'는 4일 오전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명동 본점 4층 대강당에서 금융과 ICT의 결합을 통한 혁신적인 생활금융플랫폼 '핀크'의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고 이를 기념하는 'Grand Opening'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이인찬 SK텔레콤 서비스부문장을 비롯해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민응준 핀크 대표이사 등 관계사 임직원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4일 "뉴ICT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과 우리나라 금융시장을 이끌어 온 하나금융그룹이 탄생시킨 '핀크'라는 회사가 몇년 뒤에 어떤 식으로 성장할지 기대해도 좋다"고 포부를 전했다./사진=미디어펜
'4차산업혁명'과 '금융'이 만나다
행사에 참석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뉴ICT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과 우리나라 금융시장을 이끌어 온 하나금융그룹이 탄생시킨 '핀크'라는 회사가 몇년 뒤에 어떤 식으로 성장할지 기대해도 좋다"고 포부를 전했다.
박 사장은 "SK텔레콤은 4차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여러 가지 준비하고 있다"며 "AI, 빅데이터, IoT 등의 기술이 '금융'에 융합돼 나타나게 될 서비스가 '핀크'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핀크는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응준 핀크 대표는 "정부의 소득주도성장도 청년들에게 일정 부분 도움이 되겠지만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다"며 "'핀크'는 습관적 소비, 충동적 소비 등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조력자로서의 금융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핀크는 상대적으로 가처분 소득이 낮고 체계적인 지출 관리 경험이 적은 2030 손님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저축 습관과 자산형성의 기회를 지원하는 생활금융플랫폼을 지향한다.
△AI기반의 금융 챗봇 '핀고' △지출내역 및 현금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SEE ME' △제휴사와의 연계를 통해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맞춤 제공하는 'FIT ME' 등, 고객의 건전한 자산형성과 건강한 소비습관을 돕는 AI 기반의 머니 트레이너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30일 개최된 '핀크 Grand Opening' 행사에는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이인찬 SK텔레콤 서비스부문장을 비롯해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민응준 핀크 대표이사 등 관계사 임직원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사진=미디어펜
다음은 일문일답이다.
-시중 인터넷은행 어플은 다른 카드사 정보를 가져올 수 없다. 핀크는 어떻게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건지 궁금함.
"고객의 선택에 따라 고객의 문자 메시지를 통해 지출정보 분석을 해주기도 함. 보다 정확한 지출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카드사와 직접 연계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 고객이 인증서를 한번만 등록하면 자동으로 카드사 결제정보가 가져오는 구조로 설계됨."
-기존 전자지갑 서비스와 차별화된 점이 무엇인지?
"핀크는 포인트를 모아주거나 멤버십 카드를 모아주는 전자지갑, '월렛' 서비스와 다름. 은행이 가지고 있는 카드사와 연결해서 지출정보를 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음. 가계부처럼 기록해 놓는다는 것보다는 내가 궁금한 점에 대해 바로 답을 얻을 수 있다는 것도 큰 차이점임."
-핀크 디자인이 촌스러운 것 같다. 바꿀 생각 없는지?
"2030 사이에서 인기있는 '카툰' 형식으로 로고를 만듦. 보기에 따라 '러프'해 보일 수 있다고 생각함."
-인터넷전문은행을 준비하고 있는지?
"SK텔레콤과 하나금융그룹이 의사결정을 해야 할 부분임. 아직은 준비하고 있는 것이 없지만, 필요하다면 논의해볼 예정임. 저희 지향점은 젊은세대들,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 제태크를 해드리는 것임."
-정보를 한곳에 모아주는 서비스 기존에도 많이 있었음. 인공지능과 관련해서 자산관리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음. 현재 그런 기능은 없는 것 같은데 언제쯤 그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
"6개월 정도 SK텔레콤 AI엔진, '누구엔진'과 작업을 해왔음. 금융분야와 관련한 머신에 대한 트레이닝을 해왔음. 현재 내가 잘 느끼지 못하고 있는 특정 분야와 관련한 지출이나 나에게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정도로 AI 핀고가 역할을 하고 있음. 종합적으로 A부터 Z까지 설계를 해주는 자산가들이 해주는 정도의 서비스는 고객의 데이터가 모아지고,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수준이 돼야 가능하다고 생각함. 저금이나 적금과 관련한 서비스, 투자와 관련된 서비스는 조만간 출시할 예정. 종합적인 영역은 아니지만 곳곳에서 자기 자신을 트레이닝 시킬 수 있는 서비스는 올해 말까지 다 나올 수 있지 않나, 생각함."
-인터넷전문은행 대항할만한 서비스라는 시각이 있음. SKT와 하나가 합작을 해서 왜 굳이 '2030 자산 서비스인지 궁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은퇴 후 서비스도 준비 중임. 단순 예금, 결제, 대출의 상품을 출시하는 사업자를 지향하기 보다는 핀크를 통해 실제 상품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갖고 있는 고민과 함께 할 때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음.
-수익 공유는 어떻게 하는지?
"수익 모델과 관련, 올해에는 데이터를 모으는 것이 중요 이슈임. 다만 간단한 비상금 대출은 은행상품임. 거기에 따른 하나은행의 새로운 고객 창출에 대한 일부 수수료를 받고 있음. 그러나 이것도 고객에게 캐쉬백 등으로 일부 돌려드려야 해서 수익의 큰 부분을 담당할 것 같지 않음. 수익 높은 비즈니스는 계속 준비해 나갈 예정임."
-인공지능의 비중이 어느 정도 되는지?
"사람이 관여하는 부분은 3%, 97%는 머신을 트레이닝 시켜서 사람의 의도를 해석하게끔 훈련시키고 있음. 머신러닝을 기본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거기에 필요한 레코멘데이션 엔진이 필요한데, 이것은 자체 개발하고 있음"
-핀크의 특징으로 '조력자' 강조,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 같은 전문은행들도 당연히 그런 기능에 주력할 것임. 차별점을 어디에 두고 있는지?
"우리나라 은행이나 카드사 중에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전체적인 계좌 정보, 카드 지출 정보를 가지고 저희가 시도하는 조력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개인의 계좌를 통해 가능은 하겠지만 포트폴리오로 관리해주는 서비스는 없었음. 금융도 상품 중심의 경쟁에서 나아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니즈를 충족해줘야 미래가 있다고 생각함."
-핀크 기능이 고도화 되려면 데이터가 많아야 함. SK텔레콤 '누구'라는 디바이스와 연동해 데이터 확보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있는지?
"4차산업혁명이라 하면 여러가지 화두가 떠오름. AI, IoT, 빅데이터 등. AI는 SKT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함. 핀크 역시 핀고를 SKT의 NLU 기반의 엔진으로 만들었음. 또, 핀크는 은행이 아닌 데이터 사업자다. 어느 정도 데이터가 축적되면 '핑고가 나에게 이런 것도 제공해주네?' 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미디어펜=조우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