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한경연, 중심 기업 보유 도시 4대 지표 모두 앞서

2017-09-17 11:00 | 조한진 기자 | hjc@mediapen.com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기업이 도시가 성장하느냐 쇠퇴하느냐를 가름하는 열쇠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진입 기업의 혁신적 활동이 왕성한 도시와 중심 기업이 옮겨가거나 산업경기적 요인으로 활동이 부진한 도시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17알 이같이 밝혔다.

분석을 위해 기업이 진입한 후 활발한 경영활동을 수행해온 6개 도시(이하 뜨는 도시)와 중심 기업이 국내외로 전출하거나 산업경기 순환적 요인으로 활동이 부진한 6개 도시(이하 지는 도시)를 선정했다.


선정한 도시들에 대해 사례 연구 방식으로 2008년부터 통계자료가 있는 최근년도까지의 일자리 창출, 삶의 질 등 도시 성장·발전 관련 지표들을 조사했다. 우선 뜨는 도시와  지는 도시의 일자리 창출 지표를 비교해 보면,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모두 뜨는 도시가 지는 도시뿐만 아니라 전국평균보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입주도시의 일자리 창출에 미치는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삼성전자가 2015년 평택공장을 착공한 후, 평택시의 실업률은 2015년 3.0%에서 2016년 1.8%로 뚜렷하게 하락했다.기아자동차가 2012년말 광주공장 증설을 완료한 후, 광주시 고용률은 2012년 56.2%에서 ’14년 58.6%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또한 SK 하이닉스의 2014년 이천시 M14 공장건설은 이천시 고용률을 2013년 63.3%에서 2016년 65.4%로, LG 디스플레이의 지속적 투자는 파주시의 고용률을 2010년 54.8% 저점에서 2016년 60.4%로 올리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기업의 성장은 도시의 삶의 질 개선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주택보급률과 1인당 공공도서관 좌석 수의 경우, 뜨는 도시는 물론 지는 도시도 전국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는 도시라 하더라도 그동안 축적된 생활관련 인프라 수준이 전국평균 수준보다는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일반 폐기물 재활용률의 경우에는 다른 삶의 질 지표와는 달리 뜨는 도시, 전국평균, 지는 도시의 순으로 높았다. 이는 주택보급률과 1인당 도서관 좌석 수의 경우, 인프라적인 성격으로 인해 경제력 약화에 따른 지표조정에 시간이 소요되나, 환경지표의 경우에는 경제력 약화가 즉각 반영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업의 성장은 일자리 창출은 물론 출산율 제고 등 인구성장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뜨는 도시와 지는 도시의 합계출산율은 각각 1.49 및 1.41로 전국평균 1.22명보다 높았으며, 이에 따라 유소년 인구 비중도 각각 18.2%와 16.6%로 전국평균 15.2%를 상회했다.

순 인구 유입비중과 같은 인구유입 지표들은 출산률 등 인구 성장 지표와는 달리 뜨는 도시, 전국평균, 지는 도시의 순서로 높아, 도시의 쇠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기업의 성장은 일자리 창출, 삶의 질 향상, 인구성장 촉진 외에도 경제력을   향상시켜 세수확보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인당 지방세 납부액은 뜨는 도시가 1.11백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전국평균(0.97백만 원), 지는 도시(0.82백만 원)의 순으로 많아, 기업의 성장이 세수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환익 한경련 정책본부장은“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 혁신적인 중심기업의 역할은 매우 크다”며“도시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기업이 입주해 혁신적이고도 활발한 경영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기업친화적인 환경과 제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