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유진 기자] 전북이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되지 못했다. 정부는 기존 금융중심지인 서울과 부산의 내실화를 먼저 다지겠다는 방침으로 추가 지정 가능성 여부는 열어뒀다.
금융중심추진위원회는 12일 오전 서울 정부청사에서 '제37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개최한 뒤 "현재 전북 혁신도시의 제반여건을 감안할 때 향후 금융 중심지로서 발전가능성은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금융가 자발적으로 이전할 여건을 만들고, 농생명과 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을 논리적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제37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12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개최됐다. 이날 추진위는 전북을 제3금융중심지로 지정하는 방안에 대해 보류 결정을 내렸다./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중심지란 특정 지역을 국제금융도시로 성장시킬 금융허브를 말한다. 정부는 지난 2008년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을 시행함에 따라 2009년 서울과 부산을 금융중심지로 지정했다.
3년마다 금융중심지 발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인데 전북이 제3 금융중심지 후보가 될 것이라는 예측이 높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 사항으로 전북을 금융중심지로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반면 이날 추진위는 "서울과 부산이 금융중심지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내실화 노력을 지속 추진하겠다"며 "추가 지정 문제는 국내 금융중심지 발전 여건의 성숙도를 감안해 그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북의 경우 농생명과 금융을 기계적으로 연계해 농업 관련 금융사인 농협 본점의 이전 필요성을 제기하는 주장이 있으나, 농생명산업과 금융중심지로서 발전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또 세계 주요 금융중심지가 핀테크 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추진하는 만큼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을 내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금융의 미래와 관련된 비전을 바탕으로 농생명, 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추진전략과 결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미디어펜=박유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