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유진의 기자]정부가 작년 말 청약제도를 무주택자 위주로 재편하면서 무주택 실수요층이 많은 30대가 아파트 시장의 주도세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 주택거래량이 급감한 가운데 40대 장년층의 서울 아파트 매입이 다소 주춤한 사이 비교적 30대의 매입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감정원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연령대별 주택·아파트 매매거래량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는 총 7795건으로, 40대의 매입 비중이 26.7%(2078건)로 가장 컸다. 하지만 30대의 매입 비중도 26.1%(2034건)로 40대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월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됐을 때 40대 비중은 28.4%였지만, 2, 3월 들어 조금씩 감소했다. 반면 30대 1~4월 매입 비중이 26.1%(2034건)으로 40대와 비슷했지만 1월 25.4%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적은 편은 아니다. 특히 2, 3월 들어 30대의 매입 건수가 40대를 앞서면서 올해 1분가(1~3월)만 따지면 30대의 매입비중(26.7%)이 40대(26.1%)를 따라잡은 것이다.
서울에서 15년째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운영해온 대표 A씨는 "올해 들어 직접 살기 위해 집을 구하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고 이는 작년 투자자들이 많았던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라며 "집구하는 수요자들을 살펴보면 50~60대분들이었는데 대부분 자녀들을 위해 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들어 경제적 여유있는 수요자들은 부동산 규제에 영향을 덜 받는 오피스텔 투자를 하는 고객들도 자주 눈에 띄고 있다"고 덧붙여 말하기도 했다.
30대 매입이 가장 크게 늘어난 지역은 일명 ‘마용성’으로 불리는 마포·성동·용산구 지역 아파트다. 특히 올해 30대의 매입 비중이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많았다. 마포구는 올해 거래된 아파트의 25.3%, 성동구는 35.3%를 30대가 매입했다. 용산구는 30∼50대 매입 비중이 고른 가운데서도 30대(23.6%)가 50대와 함께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소형 아파트가 밀집돼 있는 노원구와 도봉구도 30대 비중이 각각 30.8%, 27.1%로 40대를 앞질렀다.
이와 반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는 40대 매입이 가장 컸다. 강남구는 40대가 43.5%(173건)로 전 연령대를 압도했다. 50대가 19%(76건)로 뒤를 이었고 30대의 매입 비중은 15.1%(60건)를 기록해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구)보다 적은 편이었다. 또 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34.2%, 30.8%로 40대의 매입 비중이 크게 차지했다. 고가 아파트가 몰린 강남권 특성상 30대보다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있는 중년층의 매입이 더 컸던 것이다.
최근 다주택자는 물론 1주택자에 대한 대출 및 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1주택 이상 보유비중이 큰 40대 이상보다는 무주택 실수요 중심인 30대의 주택 매입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한다.
감정원이 발표하는 주택 '매매거래' 통계는 증여로 인한 거래나 분양받은 새 아파트 입주에 따른 소유권 이전은 제외되고 순수 매매 거래만 해당된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최근 젊은층의 아파트 선호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며 "경제적 여유가 있는 40대와 은퇴를 앞둔 50대는 아파트 외에도 임대사업 목적의 다가구나 연립, 재개발·재건축 대상 단독주택도 많이 사는 반면, 30대는 생애 첫 구입주택으로 아파트를 희망하는 경우가 늘면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입 비중이 커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유진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