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여성노동자 월평균 임금 245만원…남성의 69%

2019-07-01 12:58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여성 구직자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여성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45만원으로 남성의 69%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 이상은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의 비중은 26%였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은 1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9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자료를 발표했다.

작년 중 상용노동자 5인 이상 사업체 여성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44만 9000원으로, 전년(229만 8000원)보다 15만 1000원 증가했다.

이는 남성임금의 68.8% 수준이다.

남성 대비 여성노동자 임금은 지난 2015년(65.9%)을 저점으로 2016년 67.0%, 2017년 67.2% 등으로 상대적으로 더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70%에도 못 미친다.

여성의 평균근속연수는 4.9년으로 남성보다 2.5년 짧고, 월 노동시간은 160.1시간으로 남성보다 11.9시간 적었다.

지난해 8월 기준 여성 임금근로자 887만 4000명 중 비정규직 근로자는 41.5%인 367만 8000명으로 집계돼,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여성이 남성(26.3%)보다 15.2%포인트 높았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의 비중은 2014년 39.9%를 기록한 이후 4년째 높아지고 있다.

여성 비정규직 중 절반이 넘는 197만 1000명(53.6%)은 시간제인 반면, 남성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비중은 25.1%에 그쳐 큰 차이를 보였다.

비정규직 중 시간제 구성비의 남녀차이는 28.5%포인트로, 2015년 이후 지속해서 벌어지고 있다.

여성의 고용률은 결혼·임신·육아 등에 따른 경력 단절 영향으로, 30대에서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M자형' 추이를 나타냈다.

다만 30∼34세 고용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51.9%에서 62.5%로, 10.6%포인트 상승했다.

2018년 5월 기준 여성 청년층이 첫 직장을 떠난 사유로는 근로 여건 불만족이 52.8%로 가장 많았고 개인·가족적 이유(15.9%), 계약 기간 만료(12.0%)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공공기관과 대규모 민간기업의 관리자 중 여성 비율은 20.6%로 10년 전인 2008년 12.5%에 비해 8.1%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성비율은 2016년(20.1%), 2017년(20.4%) 등으로 3년째 20%선에서 제자리걸음이다.

공공기관은 6.4%에서 17.3%로 약 2.7배, 500인 이상 대기업은 13.0%에서 21.5%로 1.6배 여성 관리자 비율이 각각 상승했다.

공무원이나 법조인, 의료 분야 여성 진출은 확대되고 있다.

행정부 소속 국가직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지난해 50.6%를 기록, 2017년에 이어 절반을 넘어섰으며, 판사·검사 등 법조인 중 여성 비율도 전년(26.1%)보다 상승한 28.7%를 차지했고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중 여성 비율도 각각 전년보다 높아진 26.0%, 27.3%, 21.9%를 기록했다.

2018년 제7회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의원 중 여성의 비율은 28.3%로 2014년보다 5.4%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은 73.8%로 남학생보다 7.9%포인트 높았고, 2005년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이 남학생보다 높아진 후 남녀 학생의 대학진학률 차이는 갈수록 확대됐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