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코로나19발 폭풍의 충격 강도가 올 2분기 들어 본격적으로 확대되면서 재계가 빠르고 탄력적인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우리 경제의 척추 역할을 하는 기업의 경쟁력이 훼손될 경우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24일 재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속도’와 ‘효율’ 고려한 정부의 지원 정책을 우선적으로 바라고 있다.
지난 22일 정부는 7대 기간산업을 중심으로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조성을 포함한‘ 기업안정화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재계는 이 대책을 환영하면서도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으로 연결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영향이 2분기부터 전산업으로 확대되면서 기업들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각종 경제 지표에서도 경고음이 커지는 상황이다.
전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소득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GDP는 전분기 대비 1.4% 감소했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지난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달 1~20일까지 수출도 217억29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6.9%(79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14.5일)가 전년(16.5일)보다 2일 적었다는 점을 감안해도 수출 감소율은 16.8%에 달한다.
문제는 앞으로 상황이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시장에서는 1분기에 상대적으로 양호했던 수출이 2분기부터 감소해 성장률이 더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 한국의 연간 경제 성장률 전망은 줄줄이 하향조정되고 있다. JP모건은 코로나19 발생 전 2.3%에서 0.0%로 낮췄고, 피치는 –1.2%로 예상했다.
경제 상황이 점차 악화하면서 기업들의 경영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중단되고 소비와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초유의 상황에서 기업들은 해법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미 항공업은 국제선 대부분이 중단되면서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 자동차부품업의 경영 상황도 하루가 다르게 악화하고 있다. 소비 급감,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조선과 석유 관련 업종 역시 벼랑으로 몰리는 상황이다.
재계에서는 정부가 기간산업 보호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기간산업의 위기는 우리 제조업의 근간을 흔는 것은 물론, 수십만 일자리와도 연결된다. 다른 산업과 달리 기간산업은 한번 무너지면 회복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재계 관계자는 “아무리 좋은 처방도 시기를 놓치면 무용지물이다. 시장과 기업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부의 맞춤형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기업의 자율성과 정책효과가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지원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