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복거일 "과학소설은 미래, 가치 모르는 한국 안타깝다"

2014-12-20 10:09 | 편집국 기자 | media@mediapen.com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12월 18일 오후 7시 FKI 컨퍼런스센터 2층 토파즈홀에서 <제1회 자유주의예술강좌>를 개최했다. 자유경제원은 “흔히 예술은 자유주의와는 동떨어진 것으로 치부되고 있지만, 개인의 창의와 가치를 높이 사는 자유주의만큼 예술의 본질과 닿아있는 것이 없다”며 “자유주의에 바탕을 두고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들과 시민들이 함께하는 장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제1회 자유주의예술강좌는 소설가 복거일 선생이 “과학소설의 지형”을 주제로 강연을 맡았다. 아래는 발제문 전문이다. 자유주의예술강좌는 매월 셋째 주 목요일 오후 7시에 개최된다.

과학소설의 지형

1. 과학소설의 중요성

   
▲ 복거일 소설가
과학소설(science fiction; SF)은 일반 독자들에겐 좀 낯선 문학 장르다. 그래서 그것에 주목하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그것의 중요성은 그러나 보기보다는 훨씬 크다.

과학소설의 중요성은 물론 그것이 문학이라는 사실에서 나온다. 사람들이 늘 문학 작품들을 찾는다는 사실이 가리키듯, 문학은 사람에게 중요한 지식 형태다. 그러나 과학소설은 그런 기본적 중요성을 훌쩍 넘어서는 독자적 중요성을 지녔다. 그런 독자적 중요성은 과학소설의 주제가 과학이라는 사실에서 나온다.

다른 생물들과는 달리, 사람은 발전된 지식을 축적했다. 그러나 발전된 지식의 축적이 사람에게 즐거움만을 준 것은 아니다. 지식이 쌓이면서, 사람은 다른 생물들이 품지 않는 걱정들과 두려움들을 지니게 되었다. 미국 철학자 데네트(Daniel C. Dennett)는 이 점을 잘 말했다.

“우리 사람들은, [짐승들과는] 대조적으로, 우리 자신들의 죽음과 그 너머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다는 온전하지 못한 축복을 찾아냈다. 지난 만 년 동안 우리의 에너지 지출의 엄청난 부분은 우리만이 지닌 이 불안한 새 광경에 의해 촉발된 걱정들을 무마하는 데 바쳐졌다.” [<자유는 진화한다 (Freedom Evolves)>]

자연히, 사람들은 지식을 두려워한다. 특히 과학적 지식을 두려워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이 주는 자신에 관한 지식을 두려워하고 그런 지식이 가리키는 새로운 지평들을 외면하려 애쓴다.

“우리의 발견들의 산통(産痛)은 아직 가라앉지 않았다. 우리가 무엇인가에 대해 너무 많이 아는 것은 – 신비를 메커니즘들과 바꾸는 것은 – 인류의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전망을 빈약하게 만들리라고 많은 사람들이 걱정한다.

이 걱정은 이해할 수 있지만, 만일 우리가 정말로 너무 많이 알 위험에 처했다면, 지식의 첨단에 있는 이들이 불편함의 징후들을 보이지 않을까? 더 많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이런 추구에 참여하여 새로운 발견들을 열심히 소화하는 사람들을 돌아보라; 그들은 분명히 낙관, 도덕적 확신, 삶에의 참여, 사회에 대한 약속에서 부족하지 않다.

실은, 만일 당신이 오늘날의 지식인들 가운데 불안, 절망, 그리고 도덕적 무질서를 찾고자 한다면, 현대 과학이 신화들의 긴 계보에서 그저 또 하나이고, 그것의 기구들과 값비싼 장치들은 그저 또 하나의 종교의 의식들과 치레들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를 즐기는, 요즈음 유행을 탄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의 종족을 보라. 똑똑한 사람들이 이것을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은, 우리가 자신에 관해 지닌 지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두려운 생각이 아직 지닌 힘에 대한 증언이다.” [같은 책]

과학적 지식은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고 앞날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과학적 지식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자신과 세상을 보다 잘 보고 이해할 수 있다.

근년에 문학은 과학적 지식에 비우호적 태도를 드러냈다. 그리고 그런 태도를 정당화하는 미학을 만들어냈다. 그런 상황은 당연히 사회에 해롭다. 본질적으로 문학은 그것을 누리는 사람들에게 큰 혜택을 주지만, 반과학적 문학은 그런 혜택을 크게 줄인다.

과학을 주제로 다루는 터라, 과학소설은 과학에 우호적인 문학이다. 자연히, 낙관적인 문학이다. 그런 낙관적 태도는 사회에 혜택을 줄 뿐 아니라 반과학적 문학의 나쁜 영향과 효과를 씻어낸다.

과학소설은 일상적 차원에서는 더욱 중요하다. 그것이 우리 삶의 모든 부면들에 깊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과학소설의 황금기는 열두 살이라는, 즉 우리가 과학소설을 읽기 시작해서 매혹당하는 나이라는 자명한 얘기가 있었다. 그 자명한 얘기는 이제는 맞지 않으니, 과학소설은 우리 문화에 하도 배어 들어서, 그것의 심상들의 기본적 목록 – 로켓 우주선들과 로봇들, 외계인들과 공룡들 – 은 모든 취학전 어린이들의 환상 속의 삶에서 표준 품목들이다. 우리 시대의 열두 살 난 아이들로 말하면, 그들에겐 과학소설적인 것들은 무엇도 낯설지 않다.” [토머스 디쉬(Thomas M. Disch), <우리 몸을 이룬 꿈들 (The Dreams Our Stuff is Made of)>]

2. 널리 알려진 과학소설 작품들

과학소설 작품들을 원작으로 삼은 ‘SF 영화’들이 많이 우리 사회에 소개된 덕분에, 이제 과학소설이란 말은 모두에게 익숙하다. 그래도 과학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들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나 이런 사정을 보고서, 우리 독자들은 대부분 과학소설을 읽지 않았다고 단정하는 것은 위험하다.

소설을 즐겨 읽는 독자라면, 누구나 과학소설을 여러 권 읽었을 터이다. 과학소설을 쓰는 데 무슨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과학소설은 과학소설을 전문적으로 쓰는 작가들만이 아니라 주류 문학 작가들에 의해서도 쓰여진다. 실제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과학소설 작품들은 그런 ‘외부 작가’들에 의해 쓰여졌다. 물론 그런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소설로 여겨지지 않는다.

과학소설로 인식되지 않는 과학소설 작품들 가운데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은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03 - 1950)의 <1984년(Nineteen Eighty-four)> (1949)이다. 이 작품은 국가 권력이 시민들의 행동만이 아니라 생각까지 통제하는 전체주의 사회의 궁극적 모습을 그렸다.

인류 사회의 앞날에 대해 아주 비관적인 견해를 드러낸 이 작품에 나온 세계는 우리가 실제로 살아온 20세기의 세계와는 크게 다르지만, 그 작품이 사람들의 정치적 견해와 전망에 대해 미친 영향은 더할 나위 없이 깊었다. 특히 ‘대형(Big Brother)’, ‘신언어(Newspeak)’, ‘이중사고(Doublethink)’와 같은 음산한 개념들은 정보의 처리와 유통을 장악한 전체주의적 권력이 시민들의 자유를 위협하는 과정을 사람들이 새롭게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그런 전언은 “과거를 통제하는 자가 미래를 통제한다. 현재를 통제하는 자가 과거를 통제한다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와 같은 기억하기 좋은 구절들로 독자들의 마음에 선연하게 남는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 – 1910)의 <아서 왕 궁정의 콘네티커트 양키(A Connecticut Yankee in King Arthur’s Court)> (1889)도 일반적으로 과학소설로 인식되지 않는 과학소설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세기의 미국인이 고대 영국으로 가서 겪는 일들을 그린 시간 여행 소설이다.

그러나 작가의 의도는 시간 여행 자체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서양에서 이상향으로 여겨져 온 아서 왕의 본거지 캐멀러트(Camelot)의 일상적 모습을 통해 고대 사회의 실상을 드러내고 아울러 주인공이 지닌 현대 지식이 원시적 사회를 바꾸는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무지와 미신에 지배되고 가난과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고대 사회의 실상을 보여줌으로써 전설 속의 과거가 이상향이었다는 ‘신화’를 깨뜨린 이 작품은 뛰어난 우상파괴자 마크 트웨인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헤세(Hermann Hesse; 1877 – 1962)의 <유리알 유희 (Das Glasperlenspiel)> (1943), 헉슬리(Aldous Huxley; 1894 – 1963)의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1932)와 영국 작가 골딩(William Golding; 1911 - 1993 )의 <파리들의 임금(Lord of the Flies)> (1954) 및 <상속자들(The Inheritors)> (1955)은 널리 읽혀지고 주류 문학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과학소설 작품들이다.

미국 작가 벨라미(Edward Bellamy; 1850 – 1898)의 <뒤돌아보기, 2000 – 1887, (Looking Backward, 2000 - 1887)> (1888)은 19세기에 놀랄 만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민중주의적 사회주의의 전파에 큰 몫을 했다.

그밖에 미국 심리학자 스키너(B. F. Skinner; 1904 - 1990 )의 <월든 2 (Walden Two)> (1948), 영국 작가 워(Evelyn Waugh; 1903 – 1966)의 <폐허 속의 사랑(Love among the Ruins)> (1953), 영국 작가 슈트(Nevil Shute; 1899 – 1960)의 <바닷가에서 (On the Beach)> (1957), 영국 작가 버지스(Anthony Burgess; 1917 - 1993)의 <시계장치 귤(Clockwork Orange)> (1962), 미국 작가 핀천(Thomas Pynchon; 1937 - )의 <중력의 무지개(Gravity’s Rainbow)> (1973), 영국 작가 레싱(Doris Lessing; 1919 - )의 <생존자의 회고록(The Memoirs of a Survivor)> (1974) 그리고 캐나다 작가 애트우드(Margaret Atwood; 1939 - )의 <하녀의 이야기 (The Handmaid’s Tale)> (1985)도 주류 작가들이 쓴 뛰어난 과학소설 작품들이다.

   
▲ 제1회 자유주의 예술강좌 /사진=자유경제원

3. 과학소설의 정의

과학소설은 ‘science fiction’을 번역한 말이며, 영어로는 ‘sf’ 또는 ‘sci-fi’로 줄여서 부른다. ‘science fiction’이란 말이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였으니, 그리 오래 된 말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 과학소설로 불리는 문학 장르의 범위, 특질과 가능성에 대한 모색은 훨씬 오래 전에 시작되었다. 환상적 문학의 진화에 큰 영향을 미친 포(Edgar Alan Poe; 1809 - 1849)의 노력은 대표적이다.

과학소설은 정의하기가 무척 힘들다. 여러 사람들이 그것을 정의했지만, 간단하고 또렷하면서도 변별성을 지닌 정의는 좀처럼 나오지 않았다. 과학소설로 인식되는 작품들이 워낙 다양해서, 그것들을 한데 묶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까다로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환상소설(fantasy fiction)과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두 장르들이 겹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이다. 과학소설과 환상소설은 본질적으로 아주 가깝고, 과학소설 작가들은 흔히 환상소설을 쓴다. 그래서 분명히 환상소설로 분류되어야 할 작품들이 흔히 과학소설로 분류되었고, 그런 관행은 과학소설에 대한 인식이 근본적으로 바뀐 지금도 거의 바뀌지 않았다.

영국 작가이자 비평가인 올디스(Brian W. Aldiss; 1925 - )는 이런 사정을 감안해서 아래와 같은 정의를 내놓았다.

“많은 정의들이 어렵사리 만들어졌다. 그것들의 대부분은 실패했다, 내용만 고려하고 형식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래의 정의는 재미의 측면을 짙게 지닌 장르엔 좀 뽐내는 것처럼 들리겠지만, 앞으로 논의하면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소설은 우리의 발전되었지만 혼란스러운 지식의 상태(과학)에서 성립될 수 있고 특징적으로 고딕 또는 포스트-고딕 틀로 빚어진, 사람과 우주에서 그가 차지하는 자리의 정의에 대한 탐구'다."

깔끔한 정의가 이처럼 어려우므로, 미국 작가이자 비평가인 나이트(Damon Knight; 1922 - 2002)의 “과학소설은 우리가 그것을 말할 때 가리키는 것이다 (Science fiction is what we point to when we say it)”나 미국 작가 스핀러드(Norman Spinrad; 1940 - )의 “과학소설은 과학소설로 출판된 모든 것들이다 (Science fiction is anything published as science fiction)”처럼 순서가 뒤바뀐 정의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실제로 그것에 따라서 과학소설에 속하는 작품들이 판별된다.

아무튼 진정한 과학소설이 되려면, 작품이 “과학적 전망의 의식(a consciousness of scientific outlook)”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오스트레일리아 평론가 니콜스(Peter Nicholls; 1939 - )의 주장엔 모든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다. 그래서 “과학소설은 과학과 기술이 사람의 삶과 문명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들을 과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소설이다”라는 진술에는 별다른 이의가 따르지 않을 것이다.

4. 과학소설의 역사

과학소설을 그렇게 정의했을 때, 그것의 기원은 과학이 제대로 모습을 갖추지 못했거나 과학의 영향이 지금처럼 두드러지지 않았던 시대들로 거슬러 올라간다. 헬레니즘이 융성했던 시대의 작품들에서 원시적 과학소설(proto science fiction)의 선구자들을 찾는 사람들도 있고, 고대 바빌론 문명이 낳은 <길가메쉬>나 유태인의 경전인 <구약 성경>을 원시적 과학소설로 보는 이들도 있다.

모든 예술 장르들이 그러하듯, 과학소설도 여러 요소들을 받아들이면서 진화해왔다. 과학소설의 진화에 기여한 요소들 가운데 두드러진 것들은 환상적 여행(fantastic voyage) 이야기, 이상향(Utopia) 또는 반이상향(Dystophia) 이야기, 철학적 이야기 (philosophical tale) 그리고 기술적 및 사회적 예측(technological and sociological anticipation)이다.

그런 진화의 과정을 거쳐, ‘제1차 과학혁명’이 진행되었던 17세기까지는, 과학소설이 어떻게 정의되더라도, 과학소설로 볼 수 있는 작품들이 나왔다.

모어(Thomas More; 1478 – 1535)의 <이상향(Utopia)>(1551)과 프랑스의 군인이자 작가였던 시라노 드 베르제락(Savinien Cyrano de Bergerac; 1619 – 1655)의 <시라노 베르제락 씨가 쓴 달 세계의 나라들과 제국들의 우스운 이야기(Histoire comique, par Monsieur de Cyrano Bergerac, contenant les etats et empires de la lune)>(1657) 및 <시라노 베르제락 씨가 쓴 해 세계 나라들과 제국들의 우스운 이야기의 한 부분(Fragment Histoire comique par Monsieur de Cyrano Bergerac, contenant les etats et empires du soleil)> (1662)은 대표적 작품들이다.

19세기에 이르러, 과학의 모든 분야들에서 현대적 이론들이 차츰 자리잡고 산업혁명으로 과학과 기술의 영향이 부쩍 커지자, 좀 더 ‘과학적’인 과학소설 작품들이 나왔다.

1818년에는 흔히 정통 과학소설의 효시로 꼽히는 영국 작가 메어리 쉘리(Mary Wollstonecraft Shelley; 1797 – 1851)의 <프랑켄슈타인; 또는, 현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가 나왔고, 19세기 후반에는 베른(Jules Verne; 1828 – 1905)과 웰스(H. G. Wells; 1866 – 1946)가 뛰어난 작품들로 현대 과학소설의 틀을 세웠다.

20세기가 되자, 과학소설은 새로운 과학 이론들에 맞춰 새로운 모습을 보였다. 특히,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전반까지의 시기는 유능하고 영향력이 컸던 미국 잡지 편집자 캠벨(John W. Campbell Jr; 1910 - 1972)의 지도 아래 여러 뛰어난 과학소설 작가들이 활약해서 ‘과학소설의 황금 시대(The Golden Age of Science Fiction)’라 불린다.

이들 작가들 가운데 하인라인(Robert Heinlein; 1907 – 1988), 애시모프(Isaac Asimov; 1920 - 1992) 그리고 밴 보트(A. E. van Vogt; 1912 - 2000)는 특히 업적이 두드러지고 다른 작가들에게 끼친 영향이 커서 ‘3대 작가(The Big Three)’라고 불렸다.

20세기 전반에는 과학소설은 잡지들을 통해 많이 발표되었다. 1926년 미국 출판인 건즈백(Hugo Gernsback; 1884 – 1967)이 과학소설 전문잡지 ‘놀라운 이야기들(Amazing Stories)’을 창간한 것은 과학소설의 역사에서 중요한 이정표였다.

이전에 ‘싸구려 잡지(pulp)’라고 불린, 주로 환상적 이야기들을 실은 잡지들은 여러 분야들의 작품들을 가리지 않고 실었었다. 그 뒤로 과학소설 전문 잡지들이 여럿 나와서, 과학소설의 터전을 넓혔다.

1960년대에 과학소설은 독자층을 크게 넓혔다.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이 지닌 중요성이 늘어나면서, 특히 핵전쟁의 위협이 커지면서, 과학소설이 지닌 뜻은 점점 뚜렷해졌고 위상도 높아졌다. 특히 하인라인의 <낯선 땅의 나그네(Stranger in a Strange Land)>(1961)는 새로운 질서를 꿈꾸던 ‘꽃 아이들(Flower Children)’ 세대에게 큰 환영을 받았다.

덕분에 과학소설 작가들은 ‘싸구려 잡지’들에 생계를 의존했던 삶에서 벗어나 단행본 시장으로 진출했고, 그런 변화에 따르는 평가와 대우를 받게 되었다. 그 뒤로 과학과 기술의 영향이 점점 커지고 현대 문명의 부정적 측면들이 시민들의 관심을 끌게 되자, 과학과 기술의 영향을 다루는 과학소설은 사회 문제들에 대해 ‘관련성(relevancy)’을 지닌 소설로 점점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60년대 중엽엔 ‘새로운 물결(New Wave)’이 일어나 점점 매너리즘에 빠져서 활기를 잃어가던 과학소설에 생기를 넣어주었다. 새로운 물결의 발생지는 유럽이니, 그것은 고다르(Jean-Luc Godard; 1930 - )와 트뤼포(Francois Truffault: 1932 – 1984)를 비롯한 프랑스 영화 감독들의 실험적 영화들을 가리킨 ‘nouvelle vague’에서 나왔고, 영국 작가들인 올디스(Brian Aldiss; 1925 - ), 발라드(J. G. Ballard; 1930 - ) 그리고 무어콕(Michael Moorcock; 1939 - )이 주도했다.

새로운 물결은 심리학과 같은 ‘무른 과학(soft science)에 큰 관심을 보였고 주류소설에서 이야기 전략(narrative strategy)을 비롯한 여러 가지 요소들을 빌려와서 효과적으로 이용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류소설에 작지 않은 긍정적 영향들을 미쳤다.

새로운 물결은 이내 과학소설계 전체로 퍼졌고 미국에서 특히 풍요로운 성과를 얻었으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두드러진 업적을 남긴 들레이니(Samuel R. Delany; 1942- ), 즐레이즈니(Roger Zelazny; 1937 - 1995), 엘리슨(Harlan Ellison; 1934 - ) 그리고 디쉬(Thomas M. Disch; 1940 - )와 같은 작가들은 새로운 물결에 속한다. 덕분에 주류소설과 과학소설 사이의 높은 담장은 상당히 허물어졌다.

1980년대엔 컴퓨터 기술과 정보 산업의 급속한 발전 속에서, ‘사이버펑크(cyberpunk)’가 나타났다. 사이버펑크는 컴퓨터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을 중심적 주제로 삼은 과학소설로, 미국 작가들인 깁슨(William Gibson; 1948 - )과 스털링(Bruce Sterling; 1954 - )에 의해 주도되었다.

깁슨의 <신경조작자(Neuromancer)> (1984)는 사이버펑크의 대표적 성과이자 그것의 진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사이버펑크는 과학소설에 활기를 주었을 뿐 아니라 정보 기술의 발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위에서 살핀 것처럼, 20세기 초엽까지는 과학소설은 유럽에서, 특히 영국과 프랑스에서, 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