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오은진 기자]올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성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탈통신 전략에 집중했다. 하반기에는 정부와 주파수 재할당 문제로 줄다리기를 이어가다 간신히 타협하며 갈등 봉합에 성공했다. 5세대(5G) 이동통신은 품질 문제가 이어져 해결 과제로 남게 됐다.
◇3사 모두 탈통신 전략... 세부 차이점은?
이통 3사 모두 탈통신이라는 변화를 선언하며 신사업 발굴에 힘쓰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각사마다 다른 특색을 내세우고 있다.
먼저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빅테크 기업 도약을 선언, AI서비스단의 조직명을 'AI&CO'로 변경해 'AI 에이전트'와 같이 이용자 실생활 AI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SK텔레콤은 T맵 서비스를 분사한 모빌리티 전문기업을 출범시키며 우버로부터 약 575억원 투자 유치를 성공했다. 또 SK인포섹과 LSH(ADT캡스 모회사)를 합병시켜 국내 보안업체 1위 도약 의지도 드러냈다.
실제 SK텔레콤의 무선 매출의 경우 전년 대비 1.0% 증가로 그쳤지만 올 3분기 미디어·보안·커머스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8.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3% 상승, 역대 최초 1000억원을 돌파했다.
KT는 지난 3월 구현모 사장 체제로 바뀌면서 디지털플랫폼기업(Digico, 디지코)을 공식화했다. 또 비통신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기업간거래(B2B) 사업과 AI‧디지털전환(DX)에 중점을 둔 조직개편을 진행, 각 지역에 분산된 영업조직과 인력을 통합해 기업향 영업을 강화한다.
구현모 사장은 9개 산학연 기관 및 기업으로 AI 원팀을 구성해 AI 핵심기술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에 나섰다. 또 최근 16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는 클라우드 원팀을 결성하며 AI·DX 강화에 나서고 있다.
KT 역시 올 3분기 무선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0.9% 증가에 그쳤지만 AI·DX 사업의 3분기 누적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 늘었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 헬스와 보안‧교육‧광고‧콘텐츠‧데이터등 여러 사업 조직을 모아 신규사업추진부문을 신설했다.
기업부문은 5G 확산과 정부의 디지털 뉴딜 등에 따른 새로운 사업 기회 발굴을 위해 B2B 신규 사업에 집중하기로 했다. 기존 컨슈머사업 조직은 미디어콘텐츠사업그룹으로 재편, 미디어·콘텐츠 사업에 중심을 뒀다.
LG유플러스도 올 3분기 무선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인터넷TV(IPTV) 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성장하며 3분기 누적 수익 8542억원을 기록했다.
◇주파수 재할당 대가로 정부와 대립
정부는 내년 6월에 이용기간이 종료되는 2G~4G 주파수의 재할당 대가를 5년 기준 이동통신 3사 합산 최대 4조4000억원으로 책정했다.
업계는 책정 비용이 너무 크다고 반발, 적정 가격은 1조 6000억원이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부는 업계와 조율을 통해 재할당 대가를 3조 2000억원으로 줄이고 기존 5G 무선국 의무 투자 구축 기준도 15만국에서 12만국으로 줄였다.
이통3사는 기존에 제시했던 가격데 비해 높다며 아쉬운 반응을 보냈지만 정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5G 상용화 2년 다되가지만... 여전히 품질 논란
이처럼 이통3사가 탈통신 전략으로 디지털·미디어 영역에서 성과를 올렸지만 정작 본래 통신 사업에선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4월 이통 3사는 'LTE 대비 20배 빠르고 100배 높아진 처리용량' 이라는 카피로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시작했지만 여전히 사용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지난 8월 발표한 이통3사 품질 측정 결과에 따르면 카피와 달리 실제 5G 속도는 LTE 대비 4배 빠른 수준에 그쳤으며 그마저도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또 지하철이나 특정 건물서 서비스 사용이 어려운데다 여전히 LTE 대비 서비스 사용 구역이 적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5G 가입자는 998만 3978명으로 업계는 지난달 이미 1000만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현재 이동통신 가입자의 16% 정도로 올해 초 5G 가입자가 1700만명을 돌파할 것이란 전망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이통 3사는 5G 중저가 요금제 출시와 공시지원금 상향 등으로 고객 이탈 방지에 나섰지만 요금제 비용 인하가 고객들에게 어디까지 어필할 수 있을지 미지수인데다 5G 전국망 구축 예상 시점이 2022년이라 내년에도 품질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펜=오은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