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사 지급 단말기 공시지원금에서 제조사 지원금을 별도 공시하는 '분리공시제'를 재추진한다.
20일 방통위는 이날 이와 같은 내용을 포함한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김창룡 방통위 상임위원은 전날 방통위 기자실에서 열린 업무계획 브리핑에서 "분리공시제가 도입돼야 통신 이용자들이 신뢰하며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상임위원은 "올해 방통위 중점 사업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위원은 "분리공시제 시행 시 제조사가 글로벌 가격정책에 영향을 받아 타격을 입는다는 의견이 존재한다"며 "시뮬레이션 결과 그런 데이터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분리 공시제를 통해 얻는 이익이 더 큰 만큼 이용자 보호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분리공시제는 단말기 유통법 제정 당시 도입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제조사 반발로 빠졌고, 2017년에도 재도입 논의가 있었으나 무산됐다. 방통위는 일선 유통점에서 이용자들에게 공시지원금 외 추가 지원금을 현행 공시지원금의 15% 범위에서 확대하는 안도 추진한다.
방통위는 미디어 산업 활력을 제고하고 이용자 권익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시청각미디어서비스법도 제정한다. 지상파 방송·유료방송·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등을 아우르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 개념을 마련하고, 서비스별로 규제 및 지원체계를 마련한다는 설명이다.
김 위원은 "현재 유튜브, OTT 등은 방송의 개념에 벗어나 있기 때문에 방송법으로 막을 수 없다"고 피력했다. 그는 "OTT를 규제하면서 권장·지원을 하는 법안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방송을 통해 수익을 버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 방송발전기금을 걷고 원칙적으로 기금을 좀 더 많이 모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방통위는 기존 방송 사업자에 대해서는 TV·라디오·공영·민영 방송 등 매체별·사업자별 특성을 반영한 허가·승인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공영방송은 재허가 제도를 구체적인 '공적책무 협약제도'로 갈음하고 협약 이행 여부를 엄격히 점검하도록 한다는 전언이다. 타 방송사에 대해서는 평가 기준 등에 대한 연구반을 구성하는 단계인 것으로 전해진다.
방통위는 디지털 성범죄물에 대해서는 유통방지 조치 불이행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다. 아울러 필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표준 데이터베이스(DB)를 제공하는 등 불법정보에 선제 대응키로 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