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지역 노년층 많은데…지방은행 폐점율, 시중은행 앞질렀다

2022-01-14 13:25 | 류준현 기자 | jhryu@mediapen.com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6대 지방은행들이 최근 1년 새 점포 축소를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적 수치로는 시중은행보다 폐점 수가 적지만 감소율로는 이미 시중은행을 앞질렀다. 그동안 지방은행의 점포축소는 노년층이 많은 지방 특성을 고려해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였다. 

하지만 현실은 구조조정에 방점이 찍히고 있다. 지방은행들이 디지털금융에 박차를 가하면서 노년층을 위한 맞춤서비스도 내놓고 있지만 현장방문을 선호하는 현상이 여전해 우려하는 시각이 제기된다. 

지방금융지주 3사. 사진 왼쪽부터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 사진=각사 제공



14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1년(2020년 9월말~2021년 9월말)간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점포수는 일제히 감소하고 있다.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한국스탠다드차타드·한국씨티)은 지난해 9월 4558개의 점포만 남아 1년 전 4792개에 견줘 234개 감소했다. 

이들 은행 중 923개의 점포만 남긴 KB국민은행이 78곳을 정리해 가장 구조조정에 속도를 올렸다. 뒤이어 우리은행(2021년 798개)이 62곳, 하나은행(626개)이 49곳, 신한은행(856개)과 NH농협은행(1119개)이 각각 14곳를 줄였다. 농협은행은 특수은행인 데다 지방 중소도시에서의 수요가 많다는 점에서 여전히 네 자릿수의 점포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방은행(BNK부산·BNK경남·DGB대구·광주·JB전북·제주) 점포수는 지난해 9월 634개로 집계됐다. 1년 전에 견줘 55곳이 정리됐다. 시중은행과 절대적 격차를 비교하는 게 무의미한 수치다. 하지만 증감율로 보면 이미 지방은행이 -6.0%로 시중은행 -4.9%를 꺾었다. 점포 내방고객을 맞이하면서도 비효율성을 제고해 효율화에 나선 모습이다. 

은행별로, BNK부산은행이 23곳을 줄인 224개를 기록해 가장 많았고, DGB대구은행이 12곳 감축하며 223개로 뒤를 이었다. 또 BNK경남은행이 10곳을 정리해 144개를, 광주은행이 2곳을 정리하며 143개를 각각 기록했다. 그 외 JB전북은행은 5곳을 줄이며 93개, 제주은행은 3곳을 정리하며 31개를 기록했다. 부산은행과 대구은행,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간 점포수 격차가 각각 1개 밖에 안 된다는 점에서 향후 전세가 역전될 지가 관전 포인트다. 

2020년 9월~2021년 9월 시중은행·지방은행 점포현황. /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지방은행의 지역별 정리점포를 살펴보면, 부산·경남·대구·전북·제주 등은 본점이 위치한 허브지역을 대거 정리하며 효율성 제고에 나서고 있다. 부산은행은 서울·인천·대구·대전·울산·경기지역 점포수를 유지한 반면, 부산에서만 21곳을 정리했다. 경남은행은 부산·서울·대구·경기지역 점포수를 유지했지만 울산에서 2곳(2021년 28개), 경상도에서 8곳(95개)을 각각 정리했다. 

대구은행은 서울·부산·인천·경기·대전에서 점포를 유지한 반면, 대구에서 10곳을 대거 정리했고, 울산에서는 1곳만 남겨뒀다. 전북은행은 서울·경기·세종지역 점포수를 유지한 반면, 전라지역 점포를 두 곳 정리했다. 또 인천·대전에서도 점포를 일부 축소하며 효율화에 나섰다. 제주은행은 서울과 부산에 현존한 1개의 점포를 그대로 유지한 반면, 제주지역에서 3곳을 정리해 29만 남겨뒀다.

광주은행은 본점이 위치한 광주와 서울지역 점포수는 그대로 두되, 수요가 부족한 인천·경기지역에서 각각 1곳 2곳을 정리하며 효율성 제고에 나섰다. 전라지역은 점포수를 1곳 늘렸다.

지방은행들의 이러한 구조조정 행보는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제고, 지역경기 부진 외에도 인터넷은행 3사의 약진, 비대면화에 따른 디지털금융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다만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주요 지방에 노인계층이 많다는 점에서 금융 접근성을 고려해 점포 축소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실제 신한은행은 다음달 서울 노원구 월계동지점을 폐쇄하고 디지털 라운지로 전환할 계획이었지만,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주요 고객층인 노년층의 점포방문 의존도가 높았던 까닭이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달 발간한 '지방은행의 경영환경과 향후 과제' 보고서에서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훨씬 넓은 지역에 소비자들이 흩어져 있다. 수도권 주민들과 유사한 수준의 은행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수도권보다 인구당 점포수가 더 많아야 할 것"이라며 "지방은행이 없을 경우 지역민들에 대한 은행서비스 접근성은 수도권지역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지역 중소기업들이 대부분 지방은행에서 금융을 조달한다는 점도 점포축소 신중론의 주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지방은행은 '중소기업 의무대출비율'을 준수해야 하는 규정에 따라, 기업금융이 핵심사업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방은행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저리의 금융중개지원대출을 한도까지 받기 위해서는 대출 증가액의 60% 이상을 중소기업에 대출해줘야 한다”며 “지역 경제가 어려워져 지역 중소기업 부실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비율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등 다방면의 제도 개선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