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의 경기 회복세가 실제 지표상으로 약화되기 시작한 것을 확인했다는, 국책연구원의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내놓은 '6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원자재 가격의 급등으로 경기 회복세가 약화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가 우리 경제에 '경기 회복세 약화'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KDI는 지난 2월까지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으나, 3월 들어서는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확대를 언급했고, 4∼5월에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도시 봉쇄 조치로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이번 달에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고 제조업 생산이 위축되는 등, 경기 회복세 약화가 실제 지표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건물/사진=KDI 제공
실제 최근 수출은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의 영향이 반영되며, 증가세가 꺾이는 모습이다.
일 평균 수출액 증가율은 3월 24.0%에서 4월 15.3%, 5월 10.7%로 하락했고, 수출물량지수 증가율도 3월 5.9%에서 4월 1.9%로 낮아졌다.
4월 광공업생산은 반도체(-3.5%), 자동차(-0.8%), 1차금속 (-4.5%), 금속가공(-4.9%), 식료품(-5.4%), 전기장비(-1.5%) 등 대부분 주요 업종에서 부진, 계절조정 전월 대비로 3.3% 감소했다.
4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5.0(2015년=100)으로 전월 대비 0.4% 감소, 코로나19 2차 대유행이던 2020년 8월(104.6) 이후 1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4월 생산·소비·투자는 2020년 2월 이후 26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물가 또한 고공행진, 5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축산물과 전기·수도 ·가스 가격 상승 폭이 확대되며, 근 14년 만에 가장 높은 5.4% 상승률을 나타냈다.
KDI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높은 물가 상승세 가계와 기업의 구매력이 저하되고, 금리가 인상되면서 경기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아직 경기 국면이 완전히 전환된 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정 실장은 "이번 달에 처음으로 경기 회복세 약화를 판단했기 때문에, 당장 국면이 전환됐다고까지 보진 않는다"며 "중국 봉쇄 조치 해제 등의 영향을 기다려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