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금융소비자의 이자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대환대출 플랫폼이 내년 도입될 예정인 가운데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에서는 고객 이탈을 우려하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개인대출을 대상으로 은행, 저축은행, 여전사가 참여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내년 5월 개시할 계획이다. 금융소비자가 손쉽게 기존 대출보다 더 낮은 금리의 대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내년 5월 대환대출 플랫폼이 도입될 예정인 가운데 저축은행, 카드사 등 2금융권에서는 고객 이탈을 우려하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금융위는 지난달 금융사 간 온라인 대환대출 이동시스템을 만들고 시장 참여자와 정보 제공을 확대하며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금융권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하나의 플랫폼에서 은행, 저축은행, 캐피탈 등 여러 금융기관 대출상품을 비교하고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비대면 원스톱(One-stop) 플랫폼을 말한다. 금융결제원이 구축하는 플랫폼에 토스나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 업체가 운영 중인 대출금리 비교 서비스를 연계하는 방식이다. 이 서비스가 도입되면 금융소비자들은 은행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플랫폼에서 가장 저렴한 대출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금융위는 지난해 10월 대환대출 플랫폼을 출범하고 연말까지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업권별 갈등을 극복하지 못해 결국 도입이 무산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도 급등하면서 소비자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고자 도입이 재추진됐다.
저축은행업계의 경우 전체 79개사 중 신용대출 취급이 높은 20여곳만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들이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소극적인 것은 은행권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만큼 차주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한 수익성, 건전성 악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재 저축은행들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수신금리가 오르면서 이자비용이 급증했다. 수신금리 인상에도 법정최고금리가 20%로 제한되면서 대출금리를 올리기 어려워 예대마진은 축소됐다. 이에 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저축은행 등 자산규모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55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6%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카드업계에서도 여신전문금융채 금리 급등으로 자금조달비용 부담이 늘어난 가운데 1금융권으로 고객이 이탈하게 되면 수익성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가맹점수수료 인하로 수익성이 악화된 카드사들은 그간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카드대출을 통해 수익성 악화를 만회해왔다. 카드사의 경우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고객 이탈이 더 쉽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1금융권으로 우량차주가 이동할 경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대출문턱을 높이거나 금리를 올리게 되는 등 대환대출을 이용하기 어려운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저축은행 간 경쟁이 금리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제 살 깎아먹기’식 영업을 펼치게 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대형저축은행과 중소형저축은행 간 차이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