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양도세 20% 부과 기준이 되는 ‘대주주’ 기준이 종목당 10억원으로 유지되면서 지난 26일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이 1조원에 육박하는 물량을 쏟아냈다. 정부가 대주주 지정시 가족 합산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발표해 반등세가 나왔지만, 당국이 시행한 증시 안정화 대책이 이달 말 종료됨에 따라 다음주(내년)부터 신용융자 담보비율이 원래대로 돌아올 전망이다. 신용융자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에 투자할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증시 안정화 대책이 이달 말 종료됨에 따라 신용융자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에 투자할 경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김상문 기자
27일 정부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국내 증시는 지난 26일 낙폭을 어느 정도 회복하며 반등하고 있다. 코스피가 전일 대비 약 0.2%, 코스닥은 0.6% 정도 상승세가 나오고 있다. 다만 오전 장중 코스닥이 700선을 회복했음을 감안하면 상승폭은 줄어든 모습이다. 최근의 낙폭을 전부 회복하지 못한 채 새해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국내 주식시장은 오는 29일까지만 거래하고 금년 거래를 폐장한다.
지난 26일의 매매동향을 보면 개인들이 코스피‧코스닥 도합 1조원에 가까운 물량을 쏟아냈다. 구체적으로는 코스피에서 6194억원, 코스닥에서 3402억원어치의 물량이 쏟아졌다. 이달 들어 최대 규모임은 물론 지난달 11일의 2조2105억원 이후 최대치다.
이번에 쏟아져 나온 매도 물량에는 한 가지 특성이 있다. 20% 양도세를 회피하기 위해 소수의 ‘큰손’들이 집중적으로 쏟아낸 물량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금융투자소득세 유예 문제와는 별도로 시장에선 양도세 20% 부과 기준이 되는 대주주 기준이 현행 ‘종목당 10억원’에서 어느 정도 상향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었다.
정부는 '100억원'이라는 새 기준치를 고수했지만 야당 반대에 부딪혔고, 타협을 거치더라도 현행 10억원보다는 늘어나지 않겠느냐는 예측이 많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상향 없이 ‘현행 10억원 유지’로 결론이 나면서 매도 물량이 쏟아져 나온 것으로 보인다. 매매차익에 대한 양도세를 내지 않으려면 27일인 이날까지 주식을 팔아서 종목당 주식 보유액을 10억원 미만으로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지난 26일 장 종료 이후 한 가지 호재는 있었다. 정부는 종목당 10억원을 넘는 주식을 보유한 대주주 지정시 ‘가족 합산’은 하지 않는 방향으로 시행령 개정을 예고했다.
기존엔 직계존비속, 배우자, 경영지배관계 법인의 보유주식까지 합산했지만 올해부터 자신이 보유한 주식만을 기준으로 대주주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시행령 개정인 만큼 빠르게 결론이 내려졌고, 27일 시장에서 추가 하락이 나오지 않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은 또 있다. 금융당국이 반대매매 급증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시행한 증시 안정화 대책이 이달 말, 그러니까 올해로 종료된다는 점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6월 증시 급락으로 반대매매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증권사들의 신용융자 담보비율 유지 의무를 3개월간 면제했고, 지난 9월 코스피지수가 2200선 아래로 추락하자 대책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했다.
당국의 조치 이후 주요 증권사들은 신용융자 담보비율을 낮추거나 담보 부족분을 채워 넣는 기간을 하루 더 연장했다. 특히 미래에셋·키움·KB증권 등의 대형사들은 담보비율을 140%에서 130%로 낮췄고, 한국투자증권 등도 반대매매를 1거래일 유예했다. 반대매매란 증권사에서 돈을 빌린 투자자의 주식 가치가 담보비율 아래로 내려갔을 때 증권사가 강제로 주식을 시장에 처분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 조치가 더 이상의 연장 없이 종료될 예정이라 주요 증권사들의 반대매매 대책도 원래대로 돌아간다. 빚을 내서 투자에 나선 ‘빚투’ 투자자들의 반대매매 가능성도 그만큼 높아졌다. 이미 미래에셋증권은 내달 2일부터 담보유지비율을 130%에서 140%로 높인다고 고객들에게 안내한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잠시 주춤했던 신용융자 규모가 다시 17조원대로 올라오는 등 상승추세”라면서 “신용융자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의 경우 낙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투자시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