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배터리 업계, "美 IRA 기회 살려라"...2년 내 탈중국은 필수 요건

2023-04-17 14:47 | 조성준 기자 | abc@mediapen.com
[미디어펜=조성준 기자]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세부 지침에 따라 '탈(脫) 중국'에 사활을 건다는 방침이다.

미국이 제시한 기간이 2년도 채 남지 않은 데다 배터리 원료로 쓰이는 중국산 광물 의존도가 매우 높아 체계적인 공급망 전환이 진행돼야 할 것으로 관측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IRA 세부 사항을 공개하면서 '우려대상기관'에서 조달한 부품·광물을 사용한 배터리는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 시 보조금을 받지 못하도록 규정했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우려대상기관이 부품을 제조·조립한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는 2024년부터 보조금 대상에서 제외되며, 우려대상기관이 추출·가공·재활용한 핵심광물을 사용한 전기차는 2025년부터 보조금 대상에서 빠진다.

우려대상기관이란 미국에서 지난 2021년 11월 제정한 ‘인프라 투자 고용법(IIJA)’에 정의된 국가를 말한다. 중국 북한 이란 등이 들어간다. 여기엔 중국 정부에서 소유·통제·지시하는 기업까지 모두 해당된다.

중국 대부분의 배터리 분야 관련 기업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는 가운데 중국 업체 전부가 이에 해당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미국 재무부는 늦어도 이달 안에 우려대상기관 세부 정의 가이드라인을 배포해 그 범위를 명확히 하기로 했다. 

보조금 혜택의 기준을 맞추는 일은 쉽지 않다.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핵심 광물의 사용 기준은 올해 40%에서 2027년 80%까지 매년 10% 포인트 상승한다. 배터리 부품 역시 북미 제조·조립 비율을 현재 50%에서 2029년 100%까지 맞춰야 한다.

배터리 부품 기준은 시간이 촉박하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국내 업체들이 미국에 대규모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거나 부지런히 짓고 있고, 국내에서 생산해도 FTA 체결국으로서의 혜택을 받기 때문이다.

문제는 배터리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일이다. 사실상 IRA가 배터리 분야에 관한 중국의 글로벌 확장을 막기 위한 의도를 품고 있는 조치인데 현재 중국산 광물 의존도가 매우 높아 우리 업체들에게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우리나라는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 코발트 등을 사실상 중국산에 의존해왔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수산화리튬(산화리튬 포함) 전체 수입액 36억8000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은 32억3000만 달러에 달해 87.9%를 차지했다.

코발트(산화코발트·수산화코발트)는 지난해 전체 수입액 2억5000만 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72.8%(1억8000만 달러)를 차지했다.

천연흑연은 전체 수입액(1억3000만 달러) 중 1억2000만 달러가 중국 수입액으로, 비중이 94%에 달했다.

다행인 것은 미국이 '핵심광물협정'을 통해 보조금 지급 범위를 넓힐 여지를 줬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달 28일 일본과 협정을 맺어 일본산 핵심 광물을 보조금 대상에 넣었다. 

업계에서는 한국이 탈중국 대안으로 여기고 있는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등이 미국과 이 협정을 맺기를 기대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업계도 IRA에 대비해 이전부터 핵심 광물 수급처 다변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한 미국 업체와 탄산리튬 공급 계약을, 호주 업체와는 천연 흑연 공급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DI는 에코프로비엠과 공동 출자해 양극재 생산기업 에코프로이엠을 설립하고 경북 포항에 세계 최대 규모 양극재 공장을 준공했으며, SK온은 호주·칠레 리튬 생산기업과 잇따라 광물 장기 공급 계약을 맺었다.

소재 기업들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포스코는 리튬 확보를 위한 호주 광산과 아르헨티나 염호를 주축으로 리튬을 생산하고 있으며, 북미 지역에서도 2025년부터 연간 2만 톤 규모의 리튬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IRA 가이드라인이 분명해진 만큼 광물 수급에 있어서 중국이 아닌 파트너 확보에 속도를 내야하는 실정"이라며 "기본적으로는 중국산 광물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가겠지만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않은 만큼 현실적으로 중국 업체와의 기술 제휴 움직임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준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