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경기 침체·고금리 행진 연체율 적신호…신용생명보험 눈길

2023-05-10 13:45 | 이보라 기자 | dlghfk0000@daum.net
[미디어펜=이보라·류준현 기자] 경기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이자 부담이 커진 가운데 금융권의 대출 연체율이 오르기 시작하면서 부실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오랜 코로나19 사태, 3고(고금리·고물가·고환율) 위기,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등이 전반적인 대출 연체율 상승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이에 금융권에서는 대안으로 신용생명보험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올해 1분기 연체율이 일제히 올랐다. NH농협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27%에서 올해 1분기 0.34%로 0.07%포인트(p) 올라 상승폭이 컸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연체율은 올해 1분기 각각 0.28%로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0.06%p씩 상승했다. KB국민은행도 지난해 말 0.16%에서 올해 1분기 0.20%로 올랐다.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지역기업대출이 많은 BNK부산·BNK경남·DGB대구·JB전북·광주 등 지방은행 5곳의 연체율 악화는 더욱 심각하다. 특히 전북·대구은행에서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우선 전북은행은 지난해 1분기 0.57%를 기록했는데 올해 1분기 1.19%로 2배 이상 급등했다. 이어 대구은행도 지난해 1분기 0.30%에 그쳤는데 올해 1분기 0.24%p 상승한 0.54%로 치솟았다. 광주은행은 0.29%에서 0.17%p 상승한 0.46%,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0.13%p, 0.04%p 올라 각각 0.33%를 기록했다.

2금융권에서도 연체율 상승 속도가 가파른 모습이다.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 등 은행계 카드사의 연체율은 올해 모두 1%를 넘어섰다. 신한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1.04%에서 3개월 만에 1.37%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우리카드는 1.21%에서 1.35%로 올라섰다. 삼성·KB국민·하나카드는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0.90~0.98%였지만, 올해 1분기 모두 1.10~1.19%로 1%를 넘었다.

저축은행은 평균 연체율이 5%를 넘었다. 최근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이 5.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3.4%에서 1.7%p 오른 수치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를 넘어선 것은 2016년(5.8%) 이후 처음이다.

문제는 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연장 및 이자 상환유예 조치가 곧 종료된다는 점이다. 정부와 금융권은 2020년 4월부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출 만기연장, 이자 상환유예를 지원했는데 오는 9월 종료를 앞두고 있다. 이 조치가 공식 종료되면 10월부터는 정상적으로 대출을 상환해야 하는데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져 연체율 추가 상승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체율 상승으로 일한 부실 우려가 경제와 금융시장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권에서는 신용생명보험 가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신용생명보험이란 보험사고(사망, 장해, 암진단 등) 발생으로 대출금 상환이 어렵게 된 경우 보험회사가 남은 대출금을 대출기관에 대신 상환해주는 상품이다.

영국, 미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신용생명보험이 대출자와 대출기관의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며 사회안전망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인지도가 낮고 시장규모도 미미한 수준이다.

긍정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대출상품에 대한 꺾기(구속성 보험계약), 방카슈랑스 규제(대출창구와 보험가입 창구의 분리) 등이 시장 활성화의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용생명보험은 현재 여러 규제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데 고객, 보험사, 대출기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상품으로 활성화된다면 대출 부실 등 리스크와 사회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보라 류준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