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외국인 고용기업 90% “내년 외국인력 규모, 올해 이상돼야”

2023-07-17 12:00 | 조성준 기자 | abc@mediapen.com
[미디어펜=조성준 기자]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502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외국인력 활용실태 및 개선사항 조사’ 결과 내년도 외국인력 도입규모에 대해 ‘올해 도입규모인 11만 명을 유지’(43.2%)하거나 ‘더 확대해야 한다’(46.8%)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줄여야 한다는 응답은 9.2%에 그쳤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외국인 근로자를 충원하기 위해 올해 비전문 외국인력(E-9 비자) 도입규모를 역대 최대 규모인 11만 명으로 결정한 바 있다. 

외국인력 도입 규모는 국무총리실 외국인력정책위원회에서 매년 결정하며, 이때 사업장별 고용허용인원, 고용허용업종, 인력송출국가 등 외국인근로자 관련 기본계획도 심의‧의결한다.



현재 생산 활동에 필요한 비전문 외국인력(E-9) 고용인원이 충분한 지를 묻는 질문에 기업 절반이상이‘ 부족’(57.2%)하다고 답했다. 

부족한 이유로는 ‘내국인 이직으로 빈 일자리 추가 발생’(41.5%)을 손꼽은 가운데, ‘고용허용인원 법적 한도로 추가고용 불가’(20.2%), ‘외국인근로자 사업장 이탈 등 사유’(17.8%), ‘직무 적합한 외국인근로자 고용 어려움’(16.4%) 등이 뒤따랐다.

또한 외국인근로자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기업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외국인력은 평균 6.1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기업들이 고용하고 있는 평균 외국인근로자는 9.8명이며, 이는 내국인근로자(76.8명) 대비 12.7%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편, 1년차 내국인근로자의 생산성과 소요인건비를 100으로 보고 동일연차 외국인근로자의 생산성과 소요인건비 수준을 조사한 결과 생산성은 평균 86.7%, 소요 인건비는 평균 91.5%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포천상의 이상택 외국인근로자전문위원은 “올해 11만 명 외국인근로자가 들어오고 있어 코로나19로 힘들었던 회원업체들의 인력갈증이 일부나마 해소될 수 있겠지만 현장 인력들의 고령화가 심해지고 청년세대들의 취업기피가 지속되고 있어 인력부족 문제는 여전하다”며 “중소기업들의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향후 몇 년 간은 올해와 같은 규모 이상으로 외국인력을 들어와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외국인근로자들이은 채용 후에도 회사를 옮기기 위해 근로계약 해지를 요구하는 경우가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외국인근로자에게 사업장 변경을 위한 근로계약 해지요구를 받은 경험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기업의 52.4%가 ‘있다’고 답했다. 

또한 근로계약 해지 경험이 있는 기업이 이를 거부한 경우 외국인근로자들은 ‘태업’(41.1%), ‘무단결근’(14.8%), ‘무단 이탈’(8.7%), 단체행동(4.2%) 등 불성실한 근무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달리 회사측과 원만히 타협하고 정상근무에 나선 경우는 11.4%에 불과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5일 수도권 등으로의 외국인근로자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그동안 업종 내에서 전국 이동이 가능했던 사업장 변경제도를 일정한 권역과 업종 내에서만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 개편을 실시해 오는 9월 입국자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부산상의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 개편안으로 수도권 이직 위한 사업장 변경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지인의 권유나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한 이직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장 변경가능 횟수를 줄이고, 태업 등의 불성실한 근무 태도에 대해 책임을 묻는 제도적 조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금번 실태조사와 함께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현장의 목소리를 취합하여 ‘외국인근로자 고용·활용 제도 개선 건의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농어촌 등의 만성적인 인력부족을 해결하는데 외국인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인구감소와 도심 인구집중화로 인해 앞으로 이들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규모 또한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이제는 단순히 내국인 인력을 대체하는 차원을 벗어나 다양한 수준의 외국인력을 도입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방향을 잡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성준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