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내년부터 수도권에서 본격적인 주택 공급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빌라같은 비(非)아파트 역시 공급 물량이 감소되며 오피스텔 등 준주택은 통계에 잡히지 않아 이른바 '주택 공급 절벽'에 대한 체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내년부터 수도권에서 본격적인 주택 공급 감소 현상이 전망된다./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2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이 발표한 '현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정책 평가와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공급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19년간 전국 주택(아파트와 비아파트 포함) 공급시장에는 연평균 42만9000가구가 준공됐다.
특히 2019년은 부동산 시장 활황 등에 힘입어 준공 물량이 51만8000가구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준공 물량도 이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하지만 2022년부터 착공 실적이 감소하기 시작해 지난해는 30만가구를 하회했다. 올해 1∼8월 착공실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36.6% 증가했지만 과거 평균치와 비교해 40.5% 줄었다.
이같은 착공 물량이 줄어들면 다음 단계인 준공 역시 물량 감소로 이어진다. 통상 착공부터 준공까지 수도권 아파트는 2∼3년, 지방 아파트는 3년 정도의 시차가 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의 경우 올해까지는 준공 물량이 연평균 15만6000가구를 웃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낮아질 전망이다. 내년 기준으로 3년 전인 2022년 착공 물량이 14만가구에 그쳤기 때문이다.
건산연은 지난해에도 착공 물량이 10만 가구에 그쳐 준공 물량 감소세가 내년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아파트가 아닌 비아파트는 이미 2016년부터 공급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어 수도권의 전체 주택공급도 내년부터 예년 평균치인 5만6000가구를 하회할 전망이다. 이같은 비아파트 공급 감소는 경기 침체와 아파트와 동일한 규제, 전세사기 등으로 인한 수요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로 풀이된다.
2005∼2023년 수도권에서 연평균 6만1000가구 비아파트가 공급됐으나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연평균치를 밑돌기 시작했으며 지난해는 4만가구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건산연은 "올해 주택 준공 물량은 21만4000가구로 예년 평균 21만6000가구를 유지하겠으나 내년부터는 2022년 이후의 착공 감소가 직접 반영돼 예년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준공이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피스텔 등 통계에 집계되지 않는 준주택 상황도 비아파트와 유사해 시장에서 체감하는 감소세는 더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