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국 배치에 대해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가운데, 한미 협의가 공식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국 배치에 관해 협상 중이라는 사실을 다음주 발표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막후에선 사드가 타결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미국 정부로부터 협의 요청이 없다고 잘라 말하면서도 “주한미군에 사드가 배치된다면 우리 안보와 국방에 도움될 것”이라고 다소 모호하게 반응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3일 대국민 신년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한 것과 한민국 국방장관이 25일 한 방송에서 "군사적으로는 충분히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한 연장선으로 보여진다.
방산업계에 의하면 지난해 말부터 사드 제작사인 미국 록히드마틴 관계자들이 잇달아 한국을 방문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측에서 주한미군에 2개 포대의 사드를 배치하고, 배치 후보지도 대구와 경북 칠곡 등의 한 곳을 확정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후보지는 대구·칠곡·원주·기장·평택 등이 거론돼 왔다.
사드 2개 포대를 배치하면 비용은 7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만일 주한미군 측에서 자발적으로 사드를 배치한다면 비용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우리 정부가 요청하는 방식이라면 비용 분담까지 고려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한편 사드 배치 문제가 공식화되면 최근 대북 제재방안에서 한미일과 다른 주장을 내세우는 중국의 대북 제재 공조 국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국내 안보 전문가들은 중국이 사드 배치에 대해 과민한 반응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장은 "사드의 요격 고도는 150㎞에 불과해 주한미군에 배치된다 해도 고도 1000㎞ 이상을 비행하는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요격할 수 없다"면서 "사드의 X-밴드 레이더의 정상적인 운용 범위도 600여㎞이고 탐지용으로 즉각 전환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