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2020년 11조2000억원 '조선 빅3' 살린다…그러나 가시밭길

2016-10-31 11:50 | 김재현 기자 | s891158@nate.com
[미디어펜=김재현 기자] 정부가 31일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조선해운업계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정부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에 2018년까지 7조5000억원을 투입해 돈줄 풀기에 나서 유동성 리스크 막기에 나서기로 했다.

조선 빅3의 자구노력이 전제다. 비 핵심자산 매각, 설비·인력 조정 등 재무건전성 확보와 경쟁력 있는 핵심역량 집중을 병행해야 한다. 정부 주도의 공공발주만으로 중장기적인 조선사의 유동성 리스크 감축이 쉽지 않기 때문에 조선업 불황에 대한 면밀한 전망이 필요하다.

이날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재로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조선 및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유 부총리는 "조선산업을 경쟁력과 수익성 위주로 재편하는 동시에 고부가가치 선박서비스 분야로 외연을 확대해 선박산업으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 조선 3사가 고강도 자구노력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유휴설비와 인력의 감축, 비핵심자산 정리 등 각 사별 자구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정부가 엄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 최상목 기재부 1차관, 정만기 산업부 1차관, 윤학배 해수부 차관./금융위원회

조선기업의 단기적 수주절벽을 위해 공공선박 조기발주, 선박펀드 활용 등으로 2020년까지 250척 이상(11조원 규모)의 발주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조선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7조5000억원은 정부 발주 부분으로 유동성 확보에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나머지 부분은 시장에서 자체적으로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수주를 해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공공선박 발주만으로 조선업계의 유동성을 극복할지 미지수다. 글로벌 선박 발주량 급감으로 세계 조선업이 수주 침체를 겪고 있다. 한국 주력 선종의 수요 회복은 당분간 저조할 전망이다.

해양플랜트의 적자지속은 여전하다. 기본설계를 해외에 전적으로 의존해 원가예측이 어렵다. 핵심기자재 국산화율(25%)이 낮아 수익성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더욱 저유가로 인해 글로벌 석유사 등 발주처에서 다양한 하자를 지적하며 납기를 지연시키거나 계약을 취소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채권단 관리하에 있는 대우조선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주인찾기를 통해 책임경영을 유도하겠다는 복안도 내비쳤다.

정 부위원장은 "대우조선해양의 주인찾기는 전체적으로 시장에 대한 예상을 보면서 점진적으로 개선되야 한다"면서 "시장의 실질적인 상황 변화에 따라 구체ㅈ거인 시기와 방법들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을 비롯해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건조능력 축소와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한 고강도 자구계획을 이행해야 한다.

조선 3사 모두 부실규모가 크고 발주전망이 불확실한 해양플랜트 사업규모를 축소하고 수익성 평가를 대폭 강화해 과당 저가수주를 방지해야 한다.

조선 3사의 조선 대 해양 수주액 비중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69대 31로서 올해부터 2018년까지 76 대 24로 줄일 예정이다.

조선 3사의 설비·인력 감축 추진계획을 보면, 현대중공업의 경우 유효설비 조정으로 도크 3개 가동중단을 비롯해 조선·해양 설비통합과 기자재 사업 매각, 유휴인력 조정 및 희망 퇴직 외주화를 포함했다.

삼성중공업은 부유식 도크 1개, 3000톤 해상크레인 1개 등 유휴설비 가동중단, 호텔 및 선주숙소 등 비생산자산 매각, 유휴인력 조정 및 희망퇴직 등의 추진계획을 담았다.

대우조선해양은 건조능력 30% 축소 플로팅 도크 2개 매각, Ship 야드 외 모든 부동산 매각과 해양플랜트 사업의 점진적 축소 등이 계획안에 포함됐다. 또한 2018년까지 5500여명 등 직영인력 41% 감축키로 했다.

유동성과 관련해서는 비 핵심사업, 비생산자산 매각, 유상증자 등을 추진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서울본사, 마곡부지 등 자산과 자회사 14개를 매각키로 했다. 2018년까지 인건비 45%를 줄이며 10% 급여반납, 무급휴직, 성과연봉제, 직무급제 등 유동성 위험 해소를 경주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은 비생산자산 매각(5000억원), 급여 일부 반납, 복지비 축소와 더불어 1조1000억원의 유상증자키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비핵심자산 매각으로 1조5000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5개 자회사를 매각키로 했다. 더불어 비조선해양 사업인 태양광, 풍력 등의 사업은 분사시키고 Pre-IPO를 추진키로 했다.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대우조선은 해양플랜트의 경우 17척 정도 수주돼 있어 이를 건설해서 인도해야 하기 때문에 해양플랜트를 유지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수주할 때 경쟁력있는 분야에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재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