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새해를 맞아 입에 자주 오르내리는 화두는 '국정 불안'과 '경제 위기'다. 특히 날로 어두워지는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 말 수출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희망을 보여주고 있지만 내수부진 우려가 여전하고 미국 새 행정부 출범, 최순실 사태 등 정치적 불확실성도 짙게 깔려있어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기업들은 이미 긴축·비상경영에 들어가고 신규 고용을 축소하고 있다. 우리 경제가 장기 불황의 늪에 빠져 저성장 추세가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미디어펜은 대내외 혼란기에 있는 우리 경제의 현실과 문제, 그리고 그 해법을 4회에 걸쳐 집중 분석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①얼어붙은 경제, 기업이 살아야 풀린다
②재계 2017 재도약 "돌파구가 필요하다"
③업종별 기상도로 본 생존 전략 집중분석
④멈춰선 재계, 인사·경영계획 본격 시동
[미디어펜=조한진 기자]국내 대기업 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의 눈빛에서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2017년 새해 경기 전망이 어둡기 때문이다. 특히 대내외 변동성 확대로 올해 경영계획 수립도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재계에서는 ‘생존’이 최대 과제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2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수출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자동차들이 가득 주차되어 있다. /연합
3일 재계에 따르면 위기감이 팽배한 우리 기업들은 혁신과 변화, 기술 차별화를 통해 출구 전략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정유년(丁酉年) 신년사에서도 주요 그룹의 회장과 CEO들은 ‘미래성장동력 확보’ ‘투자와 혁신’ ‘자기반성’을 화두로 던지며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자고 주문했다.
◇뿌리를 바꿔야 살아남는다
각 그룹의 회장과 CEO들은 하나같이 올해 경기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 출범, 금리인상, 중국경기 둔화,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곳곳에 지뢰밭이 도사리고 있다. 근본적인 체질 개선 없이는 이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것이 기업 수장들의 판단이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 기업들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변화와 혁신, 기술 경쟁력을 강조하는 것은 현실이 녹록치 않다는 방증이다. 여기서 경쟁력을 유지하지 못해 시장 지배력을 상실할 경우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올해 기업들은 체질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온 가운데 기존의 프레임으로는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구본무 LG회장은 신년사에서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길을 개척한다는 각오로 우리의 사업 구조와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성장동력 확보을 위한 투자와 변화도 예고되고 있다. 최근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5조원의 투자를 결정한 최태원 SK회장은 ‘딥 체인지’를 역설했다. 이는 조직내부의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다하는 것이다. 구성원들의 자신감을 강조한 최 회장은 “구성원 개개인의 마음과 자세, 그리고 일하는 방식의 변화 속에 진정한 사업모델의 혁신이 촉발될 것"이라고 했다.
기업들은 기존 프로세서를 정비하고 미래 시장을 개척해 경쟁력을 유지한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지난해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로 속을 태운 삼성전자는 ‘쇄신’을 올해 중요 키워드로 꼽고 있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부회장)은 “철저한 미래 준비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자”고 말했다.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사업 고도화로 경쟁사와의 격차를 확대하고, 시장과 고객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자는 의미다.
◇방어적 전략과 미래준비 필요
전문가들은 올해 기업들의 방어적 경영 전략 수립과 미래 먹거리 준비가 중요하다는 조언을 하고 있다. 성장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보수적인 기업 운영을 통해 내실을 다질 필요가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3일 오전 서울 일대가 뿌연 미세먼지로 덮여있다. /연합
대한상공회의소가 50여명의 경제·사회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경제키워드 및 기업환경전망’ 결과에 따르면 올해 기업의 매출이 정체되거나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이 92%에 달했다.
대내외 리스크가 많아 울퉁불퉁한 길을 의미하는 ‘범피로드(bumpy road)’가 이어질 것이므로 기업들은 당분간 ‘생존모드(survival mode)’를 취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전문가들이 꼽는 주요 대외리스크는 미국금리인상과 후폭풍(69.2%), 중국경기둔화(57.7%), 보호무역주의 확산(46.2%), 북한·IS 등 위협(15.4%) 순이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기업들이 처한 상황은 마치 호수 위의 오리와 같아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물아래에서는 쉼 없이 발길질을 이어나가야 한다”며 “소비자의 기대와 사회의 요구수준이 더 높아진 만큼 이를 충족할 전략을 끊임없이 짜나가야 한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올해 한국 경제의 주요 이슈로 ‘사회역동성 저하(고령사회화)’ ‘갈등조정비용 증가’ ‘사회안전망 부족’ 등을 꼽았다.
송의영 서강대 교수는 “한국도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부양해야 할 인구가 늘면서 성장이 지체되는 인구 오너스(Onus)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이로 인해 구조적 소비부진으로 경기침체에 빠지게 될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경제팀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과제를 묻는 설문에는 구조개혁 추진(46.2%)이 가장 많았다. 이어 산업구조조정(42.3%), 미래먹거리 발굴(15.4%), 민생안정(7.7%), 기업애로 해소(3.8%) 등의 순이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