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하늘 기자] 금융감독원이 연이은 금감원장의 사퇴로 이른바 ‘금감원장 쇼크’ 상태에 빠졌다. 혼란을 잠재우기 위해선 후임인 13대 금감원장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그렇지만 현재 마땅한 인물이 대두되지 않고 있다. 남북정상회담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인물 뿐만 아니라 시기 역시 정부의 입장에선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현재 김기식 전 금감원장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은 대부분 지난해 금융위원장, 금감원장 임명 전부터 물망에 오르던 인물들이 대다수다.
업무의 연속성 차원에선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과 정은보 전 금융위 부위원장, 김주현 우리금융연구소 소장, 윤종원 경제협력개발 기구 대표부 대사 등이 하마평에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김기식 전 금감원장의 사퇴 직전인 지난 13일 문재인 대통령은 금융개혁을 강조하며 관 출신이 아닌 인사를 시사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논란을 피하는 무난한 선택이 있을 것”이라며 “주로 해당 분야의 관료 출신 등을 임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편으로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 분야는 과감한 외부 발탁으로 충격을 줘야 한다는 욕심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개혁을 강조한 측면에선 윤석헌 금융행정혁신위원장(서울대 경영학과 객원교수)과 심인숙 중앙대 교수, 전성인 홍익대 교수,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사장, 안원구 전 대구지방국세청장 등이 대표적 후보군이다.
이에 금감원 관계자는 “김기식 전 금감원장이 수많은 논란으로 인해 낙마한 만큼 차기 금감원장은 논란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인물이 선택 될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물들 가운데선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분들이 더러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사장 경우, 한화투자증권 사장 시절 대규모 구조조정과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전략으로 적자로 만들었다는 의혹이 있는 상황이다.
또 다른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는 관 출신 보단 외부 인사를 통한 금융개혁 의지가 확고해 보인다”며 “다만 최근 최종구 금융위원장의 경제민주화 발표를 미루어 봤을 땐 관으로도 충분히 금융개혁을 할 수 있단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남북정상회담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김기식 전 금감원장때와 같은 기습적 인사발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