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데스크칼럼] 신세계 호텔과 사대주의

2018-05-10 18:01 | 김영진 부장 | yjkim@mediapen.com

팻투바하로 유명한 김범수 신세계조선호텔 상무(사진 왼쪽)가 레스케이프호텔을 디자인한 자크 가르시아와 함께 사진을 찍어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렸다./사진=팻투바하 인스타그램

[미디어펜=김영진 기자] "프랑스 파리를 모티브로 구현한 국내 최초의 어반 프렌치 스타일의 호텔, 19세기 파리 귀족사회의 영감을 받아 설계한 호텔."

지난 2일 신세계조선호텔이 7월 오픈하는 부티크 호텔 '레스케이프'를 알리며 배포한 보도자료 내용 중 일부이다. 이 호텔은 신세계와 오랜 관계를 유지해왔던 메리어트 인터내셔널(구 스타우드호텔)과의 관계를 끊고 첫 독자 브랜드를 론칭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호텔이다. 

'레스케이프' 호텔은 독자 호텔 운영 및 호텔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는 신세계조선호텔에 나침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런 이유로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자신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파워블로거 '팻투바하'(김범수 신세계조선호텔 식음기획담당 상무)에게 이 호텔의 지휘를 맡겼다.

하지만 보도자료를 접하며 적잖이 실망했다. 기대가 컸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서울 하늘 아래 왜 난데없이 프랑스식 호텔을 오픈하겠다는 것인지 이해하기 어려웠다. 프랑스 브랜드 호텔도 아닌데 말이다. 

호텔은 단순히 숙박을 위한 공간이기 보다 한 국가와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총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그래서 장기적 안목으로 호텔을 운영하는 곳은 자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함축적으로 담으려고 노력한다. 호텔의 시초인 유럽과 미국의 호텔 브랜드들 뿐 아니라 만다린 오리엔탈, 샹그릴라, 페닌슐라 등도 아시아적 가치를 가지며 전 세계로 진출했다.

신라호텔에서 준비하고 있는 한옥호텔 역시 한국의 문화와 라이프스타일을 호텔이라는 공간에서 경험하기 위한 것이다. 

심지어 한국에 진출한 글로벌 호텔 브랜드들도 한국적 헤리티지를 찾아 호텔에 담으려고 노력한다. 서울 광화문에 오픈한 포시즌스 호텔은 라운지 이름을 '마루'로 짓기도 했고 단청 문양을 인테리어에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레스케이프호텔 티저 이미지./사진=신세계조선호텔



그런데 이제 독자 브랜드를 론칭했다는 호텔이 한국적인 것을 추구하기보다 더욱 이국적인 호텔을 서울에 오픈하겠다니 헛웃음만 난다. 그것도 호텔 한두 개 짓고 마는 개인 오너도 아닌 수십 년간 호텔 사업을 해온 국내 굴지의 대기업 계열의 호텔에서 이런 컨셉을 발상했다는 점에서 더욱 실망스럽다.  호텔 컨셉도 19세기 파리 귀족사회의 영감을 받아 설계했다고 하는데 어반 프렌치 스타일의 호텔이라니 뭔 말인지 알길이 없다.

호텔이 국내에 처음 소개됐던 시기에는 보고 배운 게 없으니 가까운 일본에서 많은 걸 차용했지만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 정체성을 찾지 못한다는 점은 부끄러운 일이다. 

레스케이프 호텔의 디자인은 '프랑스 부티크 호텔 인테리어 대가'라고 하는 자크 가르시아가 맡았다. 자크 가르시아는 파리의 코스테스 호텔과 뉴욕의 노마드 호텔을 디자인한 것으로 유명하다. 김범수 상무 역시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자크 가르시아를 프랑스에서 만나면서 "한 인간의 열정이 17세기 바로크 양식의 거대한 성을 복원해 냈다. 입이 딱 벌어지는 규모에 바르세유 궁전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장식, 성이 아닌 개인의 집이라는 게 믿기지 않는 미친 걸작'이라며 그에 대한 찬사와 호텔 디자인을 맡긴 배경을 암시했다.

호텔 디자인을 외국인에게 맡겼다고 비판하는 것은 아니다. 역량이 부족하면 해외 디자이너에게 맡길 수 있다. 다만 김범수 상무를 비롯한 호텔 관계자들은 이 호텔을 준비하면서 호텔을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한국적인 미와 가치를 어떻게 알릴까라는 고민을 해 봤을까. 지금 당장의 멋있고 이국적인 호텔이 아닌, 먼 미래를 보고 론칭을 준비했을까. '19세기 파리 귀족사회의 영감'을 받아 설계를 했다고 밝혔으니 이미 컨셉은 끝난 것으로 보인다. 

식음 공간 역시 마찬가지이다. 뉴욕과 홍콩 스타일의 중식 레스토랑을 오픈하고, 프랑스식 티 살롱을 오픈한다는데 한식당은 찾기 어렵다. 또 미슐랭 2스타 레스토랑을 입점 시키려는 노력은 하지만 자체적으로 레스토랑을 키워 미슐랭 레스토랑으로 키울 의지는 약해 보인다. 한식당을 자체적으로 키워 미슐랭3스타를 받은 신라호텔이 더욱 대단해 보인다. 

일본의 호시노야 호텔의 경우 글로벌 호텔 체인들이 글로벌 스탠다드로 전 세계 호텔을 지배하는 동안 일본의 료칸 문화를 '재창조'하면서 일본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 호시노야 호텔은 단순한 숙박 업체가 아닌 일본 문화를 알리는 문화 기업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일본 전통 료칸 문화를 재창조한 호시노야를 경험하기 위해 일본으로 향하는 관광객들도 많다. 이것이 바로 부티크 호텔이자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모범이라고 할 수 있다.

레스케이프 호텔의 오픈 이후를 지켜봐야겠지만, 관광객들은 서울에 프랑스식 호텔을 접하려고 일부러 오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미디어펜=김영진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