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신규원전 중단, 밸류체인 무너뜨려 원전 수출 막는다

2018-07-06 15:21 | 나광호 기자 | n0430@naver.com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정부가 원전 생태계 유지를 위해 원전 수출을 추진하는 가운데 신규원전 중단은 관련산업 밸류체인을 무너뜨려 향후 수출을 막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 원자력정책연대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신규 원전 6기 중 주기기 계약이 들어가 취소시 3000억원 이상의 손해배상이 예상되는 신한울 3·4호기를 제외한 천지·대진원전 등 4기의 사업을 종결하기로 했다. 

업계는 해외 사례와 원전 산업의 특성을 들어 이같은 신규원전 중단이 원전 산업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스리마일섬(TMI) 원전 사고 이후 30여년간 원전 건설을 중단하면서 부품 공급망이 붕괴되는 등 경쟁력이 감소했으며, 지난해 건설에 들어갔던 4기 중 2기가 비용 문제로 건설이 중단됐다. 최근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인 영국도 1995년 이후 원전 건설을 중단하면서 기술력이 약화, 프랑스·한국 등 외국의 자본 및 기술에 의존해야 하는 실정이다. 

신고리 5·6호기 전경/사진=연합뉴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도 앞서 지난 4월19일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 주최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원전 기자재 공급망은 2~3년 주기로 발주되는 원전 건설에 맞춰져 있다"며 "수출로 산업 유지가 가능할 때까지 원전 건설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실제로 지난해 발표된 원자력산업실태조사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원전 관련 기자재·시공·설계업체 1988개 중 6개 대기업을 제외한 나머지는 중소·중견기업으로, 공백기가 5년 이상 지속될 경우 경영난에 직면할 수 있다.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될 경우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을 수주한다고 해도 오는 2024년부터 기자재 공급에 들어갈 수 있어 2020년 신고리 5·6호기 완공 이후 5~6년 정도의 공백이 발생, 원전 관련 업체들의 실적 저하가 예상된다.

특히 원전 건설시 터빈을 비롯한 메인 설비는 기술력·가격 등을 위주로 선정하지만 기타 부품은 자국 업체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해외 원전 수주에 성공한다고 해도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은 난항에 직면할 전망이다.

지난달 4일 본관 접견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칼리드 알팔레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이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청와대



이런 가운데 국내 원전의 주요 부품을 만드는 두산중공업이 해상풍력·가스터빈 등 다른 사업으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어 향후 메인 설비 수출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28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추진하는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 개발사업'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설계·제작·실증을 총괄하는 한편, 2021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R&D) 비용의 대부분을 가스터빈 개발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기존 사업부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박지원 두산중공업 부회장은 지난달 발간된 보고서에서 "가스터빈·재생에너지 등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이를 통해 지속 성장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경우 미국·중국·러시아처럼 원전 수출에 '끼워팔기' 할 수 있는 옵션이 없다는 점에서 원전 수출을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를 유지한다는 전략은 리스크가 크다"며 "사우디 등 해외 원전 수주에 실패할 경우 원전 밸류체인 붕괴를 막을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