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 일부 위원들이 단조·주조·재장전수탱크 등 원전 관련 기초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원자력궁금위원회'라는 비아냥이 이어지는 가운데 원안위가 재가동을 승인한 원전 2기가 가동중단되면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2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국내에서는 원전 24기가 가동됐으며, 정상운전 중 기기고장 및 인적 요인으로 인해 발전소가 불시정지된 경우는 1건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해 불시정지가 3건으로 늘어났으며, 올해는 1월에만 2기의 원전이 자동으로 가동을 멈췄다. 이 중 한빛 2호기는 지난달 24일 계획예방정비 중 발전기 부하탈락시험을 완료하고 증기발생기 수위를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중기발생기 수위가 감소, 원자로가 자동정지됐다.
지난해 7월16일 계획예방정비에 들어간 한빛 2호기는 지난달 22일 원안위로부터 재가동 승인을 받았다. 당시 원안위는 82개 항목을 검사하고 원자로가 안전하게 재가동될 것이라고 판단한 바 있다.
한빛 원전 전경(왼쪽에서 두 번째가 2호기)./사진=한국수력원자력
같은달 21일에는 지난해 6월11일부터 계획예방정비에 들어가고 9월5일 재가동에 들어간 월성 3호기 원자로가 중단되기도 했다. 이는 냉각재 펌프가 정지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월성본부 측은 이로 인한 방사선 영향은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같은해 3월28일에는 신고리 1호기가 재가동된지 17일만에 제어봉 오류로 출력을 낮췄다가 사흘 뒤 정상운영을 실시했으며, 같은해 1월에는 고리 3호기가 재가동 이후 2주간 두 차례나 고장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들 원전은 정비에 1년 이상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운영 경험 축적 및 정비기술 발전에 힘입어 기당 불시정지 건수가 감소하던 추세에서 부정적 의미의 반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비전문가로 구성된 원안위의 판단 능력을 지목하고 있다. 원전 재가동은 원안위의 최종 승인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해외 사례를 들어 원안위가 핵 공학자들의 전유물이 될 이유는 없다고 하지만, 국내 원안위는 화학공학 교수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를 제외하면 △민변 출신 변호사 △중어중문학 전공 탈핵운동가 △예방의학교실 교수 △사회복지학 전공 공무원 등으로 구성됐다는 점에서 전문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한수원 신고리 4호기 노조원들이 새울본부 인근에 설치한 현수막/사진=원자력정책연대
지질환경과학자가 포함됐음에도 신고리 4호기 운영허가가 지체되고 있는 것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일명 '쌍둥이 원전'인 신고리 3호기의 경우 2015년 10월 운영허가를 획득하고 2016년 12월부터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반면, 4호기는 2017년 10월 허가를 신청했으나 여전히 받지 못한 상태다.
원안위는 이에 대해 신고리 3호기는 2016년 경주지진과 2017년 포항지진 발생 이전에 운영허가를 받았으나, 신고리 4호기는 그 이후에 허가를 신청해 안전성 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의 규모는 각각 5.8과 5.4로, 신고리 원전은 규모 7.0 이내의 지진에서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과 동일 노형인 신고리 3호기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리히터 규모 기준 6.0과 7.0은 32배 가량의 에너지 차이로, 이를 폭발력으로 나타내면 각각 TNT 폭탄 15kt과 480kt를 터뜨리는 수준"이라며 "고등학교 수학만 배워도 지진 때문에 신고리 원전 운영허가를 내주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