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막차 탄 맥스터 건설, 영구저장시설 조성으로 이어져야

2020-01-11 17:55 | 나광호 기자 | n0430@naver.com

한빛원전에서 경주 방폐장으로 중저준위 방폐물이 담긴 드럼용기를 보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원자력안전위원회가 사용후핵연료 보관시설 7기에 대한 추가 건설을 결정한 가운데 영구저장시설 조성을 위한 발걸음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에 구축하기로 한 시설은 맥스터로, 개당 2만4000다발을 저장할 수 있다.

월성 원전 부지 내에 운영 중인 맥스터는 현재 추세로 볼때 내년 11월 가득 찰 것으로 보이며, 적기에 설비가 추가되지 못할 경우 월성 2~4호기 가동도 멈춰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불거져 왔다.

실제로 월성 2~4호기에서는 매월 1000다발 가량의 사용후핵연료가 나오고 있으며, 이를 습식저장시설로 옮겨 5년 정도 열을 식힌 뒤 건식저장시설로 옮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건식저장시설에는 31만8480다발이 저장됐으며, 11.5개월이면 포화상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앞서 2016년 4월 원안위에 추가 건설 허가를 신청했으며, 그간의 부침을 딛고 이번 회의에서 위원 8명 중 6명이 찬성하면서 가결됐다.

맥스터는 만드는데 22개월(인허가3+건설19) 가량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다음달에는 착공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으로, 김경수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도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수명이 다 된 발전소가 늘어나고 있지만, 사용후핵연료 관리 대책 마련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면서 "원전 해체를 위해서도 저장시설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월성 3호기/사진=연합뉴스



그러나 맥스터와 월성 원전 내 다른 저장설비인 캐니스터 모두 임시저장설비로,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맥스터의 설계수명은 50년이다. 이 때문에 사용후핵연료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시설의 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30여년간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리장 건축을 타진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호주 측과도 협상을 시도했으나, 국제원자력기구(IAEA) 등에서 불편을 표시하면서 무산되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2016년 7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을 마련한 데 이어 2028년까지 발전소 외부에 부지를 선정하고, 2052년까지 영구저장시설을 구구축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들어 2017년 7월 기존 위원회가 충분한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재검토 결정이 내려진 후 참가자들의 보이콧이 속출하는 등 난항도 겪고 있으나, 정부에서는 '의견수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핀란드는 영구저장시설을 짓고 있으며, 프랑스·스웨덴·스위스 등에서도 관련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설계수명이 지난다고 설비를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서는 안전문제가 '전가의 보도'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조기에 영구저장시설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사용후핵연료는 원자로 내에서 3~5년 가량 쓰인 뒤 배출되는 고준위방폐물로, 우라늄·플루토늄·세슘·스트론튬을 비롯한 방사성 물질이 포함됐으며, 다량의 방사선과 고온의 열 등을 방출한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