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코로나19 이후 주목할 8대 글로벌 리스크, 'P.A.N.D.E.M.I.C'

2020-07-12 13:58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이 된 지 4개월이 지났지만, 경기침체와 자산가격 급락, 대규모 실업, 기업실적 악화 등 전면적인 위기가 현재 진행중이다. 

로렌스 서머스 전 미국 재무부장관은 코로나19 사태를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는 '역사 속 경첩'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글로벌 리스크를 더욱 키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제금융센터는 글로벌 리스크 측면에서도 코로나19는 경제.금융.사회.정치 등 다양한 부문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이벤트로서, 이번 사태가 진정돼도 여러 부분에서 후폭풍 성격의 리스크가 다가올 것으로 전망했다.

또 코로나19 이후 주목해야 할 글로벌 리스크 8가지를 'P.A.N.D.E.M.I.C'으로 정리했다.

P(Protectionism Wave)는 자국 우선주의 확산으로, 세계 성장.교역.투자에 마이너스 요인이 될 전망이다.

이번 사태로 글로벌 공급망을 통한 수급에 차질이 생기고, 보건 인프라 부족, 핵심기업 불안, 국내 일자리 공급 부족 등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자국 우선주의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 형태로 보호무역 강화, 식량안보화, 핵심기업 통제, 리쇼어링, 외국인 투자 및 고용 제한, 백신 국수주의 등이다.

D(Alienation from Digital)는 디지털 소외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의 부작용 증가다.

코로나19로 대부분 산업이 공급망 재구성, 데이터 보안, 원격업무, 업무자동화 등 디지털 전환 전략을 가속화, 이 과정에서 새로운 성장.투자동력이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디지털경제 가속화 과정에서 고용구조 변화, 대면 위주의 서비스산업 약화, 디지털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의 위기, 사이버 보안 위험 증가가 우려된다.

N(Normalisation Risk)는 유동성 정상화 리스크로, 유례 없는 유동성 정상화에 따른 위협이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자산매입 등 유동성공급으로 4대 중앙은행 자산은 5조 달러가 증가, 사상 최대인 24조 달러를 상회하며, 최근에는 추가로 비전통적 통화정책도 준비되고 있다.

그러나 과잉 유동성 공급 중단.회수 계획 시, 채권시장 수급 교란, 정책 작동 논란, 자산급락 등 가능성이 높다는 게 문제다.

D(Debt Threat)는 부채위기 도래로 주요국 재정위기, 신흥국 국가부도 위험이 증가할 위험이다.

글로벌 총부채는 재정지출.민간차입이 확대되면서, 금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344%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선진국 정부부채도 122%로 지속가능 수준(60%)의 2배로 증가할 예상이다.

과도한 부채는 신용등급 강등, 남유럽 재정위기, 신흥국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기업 파산, 은행 부실이 확대될 위험이 크다.

E(Exuberance & Bubbles)는 위험투자 과열로, 모럴헤저드로 인한 위험자산 버블이 우려된다.

주요국들이 자산 무제한 매입, 투기등급 회사채 지원, 위기기업 구제 등으로 금융시장의 빠른 회복에 기여했다.

그러나 이는 미래에도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위험투자를 조장하는 등 모럴헤저드를 양산, 자산가격 버블로 이어져 악재 도출 시 충격이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M(Murky Latin)은 남미 경제위기 장기화로, 신흥국 중 가장 위험한 지역을 위협하고 있다.

종전에도 원자재 가격 하락, 부채과다, 재정.경상수지 악화 등으로 어려웠던 남미경제는 코로나19로 정치.사회 불안까지 가세, 불황국면이 장기화될 공산이 크다.

성장 정체, 신용등급 하향, 외자유입 축소 등이 이어져 다수 남미 국가에서 경제.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있고, 신흥국 중 가장 외면받는 지역이 될 소지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I(Inequality Widening)은 사회 불평등 심화로, 정치.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19 사태로 보건서비스.고용.소득.교육 등 다양한 측면에서 취약층.부유층 간, 장년층.청년층 간, 피부색.인종 간 불평등 및 격차 확대가 노출됐다.

이런 불평등 심화는 반정부.반체제 운동, 정치불안, 극단주의 부상 등을 야기할 수 있다.

C(Cold War 2.0)는 국제사회 양분화로, 미-중 대립의 전 세계화 위험이다.

패권경쟁에 더해 미중 양국은 코로나19 사태 책임론을 둘러싸고 대립이 경화되고 있어, 양국의 정치를 넘어선 경제연대 노력으로 '편들기 구도'가 전 세계로 확대될 소지가 크다.

이는 글로벌 공조 약화, 국제기구 거버넌스 침해, 반대입장국에 대한 경제 압박,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이들 리스크의 폭발력이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제금융센터는 "당장은 코로나19 탈출이 우선이나, 향후 도래할 리스크에 대한 대비에도 나설 시점"이라며 "경제주체 모두 다음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재무 건전화, 대응 옵션 강구, 위험 익스포저 관리, 글로벌 협력체제 강화 등을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