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코로나19 따른 신흥국 리스크 증폭의 한국경제 영향은?

2020-07-13 11:27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신흥국 경제의 취약성이 증폭되면서, 이로 인해 우리 경제 및 금융시장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가장 많은 미국에 이어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에서 급속 확산되고, 가뜩이나 취약한 아르헨티나,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일부 신흥국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금융시장 [사진=연합뉴스]



일단 신흥국 리스크가 더 확대되더라도 국내 경제에 직접적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국내 금융기관들의 대 주요 신흥국 익스포저 비중은 18.5%로, 금융기관 총자산의 1.6% 수준이고 특히 아르헨, 터키, 남아공 등 3대 취약국 익스포저는 0.03%로 미미, 국내 금융시스템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것.

또 우리나라의 양호한 대외건전성과 정책 여력 등 안전망이 확충됨에 따라, 과거와 달리 취약 신흥국 위기에 대한 민감도가 대폭 약화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2018년 미국의 금융긴축으로 아르헨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고 터키, 브라질, 남아공 및 아시아 신흥국에 통화 불안이 심화됐던 시기에도, 한국은 원화절하율이 제한되고 신용부도위험스와프 시장 변동도 적었다는 것.

다만 한국의 대외 개방성이 높고 대 신흥국 수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신흥국의 경상수지 약화는 부정적 여파가 예상된다.

우리의 전체 수출에서 신흥국의 비중이 2015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며, 특히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신흥국 비중이 19.1%로 북미 16.6%, 유럽 12.8%를 추월하면서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G2(미국, 중국) 발 신흥국 전반의 리스크 확대 시에는 위험 회피성향이 강화되면서, 아시아의 '현금인출기' 성격인 한국의 금융시장에서 일시적인 불안이 고조될 수 있다.

박미정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향후 신흥국 불안이 우리 경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면서도 "다만, G2와 연계된 신흥국 리스크 증대 효과가 크고,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의 중심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이 우리 경제와 밀접해졌음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아세안의 경우, 무역 등 실물경제 의존도가 커지면서, 우리나라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상관계수가 최근 10년간 0.48에서 0.66으로 높아져,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