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트윈데믹' 공포, 코로나 vs 인플루엔자…뭐가 더 위험할까

2020-09-19 12:29 | 김규태 차장 | suslater53@gmail.com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19일 0시 기준으로 17일째 100명대(110명)에 지역발생은 나흘째 세 자릿수(106명)를 기록했다. 누적 확진자는 2만 2893명에 사망자는 1명 늘어 37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8개월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유행성 독감(인플루엔자)이 본격 발발하는 늦가을철이 머지 않았다. 정부는 코로나와 인플루엔자가 동시유행(트윈데믹·Twin-Demic)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코로나와 인플루엔자 중 뭐가 더 위험할까.

1743년 영국에서 첫 의학 용어로 쓰이기 시작한 인플루엔자(Influenza)와 지난해 11월~올해 1월 사이 중국 우한에서 창궐한 코로나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인플루엔자는 매년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들에 의해 일어나고 돌연변이나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반면 코로나는 올해 초 학계에서 확인된 바이러스다.

다만 위험도 비교에서 사망자와 치명률(환자수에 대한 사망자수 비율)을 통해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최근 글로벌제약사들이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이 최종단계인 임상 3상 시험에서 잇달아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연내 백신 개발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커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우선 코로나는 19일 기준으로 지난 1월 3일 누계 총 사망자 378명이다. 올해 8개월 반이 되어가는 기간동안 378명이 사망한 것을 역산하면, 연간 사망자는 최대 6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는 집계하기 쉽지 않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및 통계청 사망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질병관리청 표본감시자료 등 곳곳에서 조금씩 다른 가운데 공통된 방법론으로 추정하는 사망자는 국내 연간 2370명이다.

연세대 산학협력단이 2018년 12월 발간한 '인플루엔자로 인한 질병부담 분석'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진단 후 30일 이내 사망자(2017년 6월~2018년 5월)는 2752명이었고 인플루엔자로 인한 초과 사망자는 1828명(추정치)이었다.

결국 사망자로 국한해서 보면 코로나는 연간 600명, 인플루엔자는 최소 1800명에서 2400명 대일 것으로 전망된다. 인플루엔자가 단순 계산으로 3~4배에 달하는 희생자를 낳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한국 사망자 수는 38명(확진자 186명)에 불과했다.

치명률의 경우 얘기가 달라진다. 올해 코로나 치명률은 1.65116%(9월 19일 0시 기준)다.

반면 인플루엔자는 연세대 산학협력단 연구에 따르면, 2013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5년간 평균 0.00054%로 올해 코로나 치명률과 비교하면 3000분의 1에 불과하다.

다른 연구들을 살펴봐도 인플루엔자 치명률은 높게 나와도 0.01%에서 0.1%대에 머무른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지난 1월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간 미국에서 최소 970만 명의 인플루엔자 환자가 발생해 이중 480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치명률은 0.00049%다. 연세대 산학협력단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다.

감염병 중 가장 유명한 1918년 당시의 스페인 독감은 전 세계에서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것으로 추정된다. 최대 1억 명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당시 스페인 독감은 감염자 중 2.5%(치명률)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걸리지만 치명률이 극히 낮아 연간 1000~2000명대의 사망자를 낳는 인플루엔자,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지난 8개월간 378명의 희생자를 기록한 코로나.

지난 수년간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신종 바이러스 출현을 목격한 것을 감안하면 인류는 바이러스를 정복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예방을 철저히 하고 관련 백신을 만드는 것이 최선이라고 지적한다.

코로나와 인플루엔자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은 명백하다. 앞으로 정부가 동시유행에 대비해 방역 방침을 어떻게 개선하고 대처해 나갈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