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올해 농촌경제도 큰 타격을 입었다.
올해는 '농촌여행주간' 행사도 열리지 못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모든 지역축제가 취소돼, 축제에서의 농특산물 판매 등 축제 수익으로 1년을 먹고 사는 이들이 치명타를 맞았고, 1000곳이 넘는 농촌체험휴양마을 중 대부분이 '개점휴업' 상태로 1년을 보냈다.
학교급식 중단으로 납품 농가들의 피해가 크고, 졸업식.입학식이 사라져 화훼농가들도 판로를 잃었으며, 사회적경제 종사자들도 대폭 위축됐다.
공공이 제공하는 각종 교육.문화 프로그램 중단으로 지역경제의 손실도 만만치 않았다.
전문가들 사이엔 이번 감염병 사태를 계기로, 농촌과 농업정책에도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시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최근 한 기고에서 "코로나19 사태는 공공의 힘으로 농촌경제를 부양하는 것이 오히려 농촌의 체질을 약화시키고, 지속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공공정책의 기본이 공공재를 공급하는 것이라면, 코로나19 이후의 농촌정책은 농촌의 잠재력에 기대, 공공재를 공급해야 한다"면서 "농촌이란 무대를 정비하되, 공공이 '무대 위 배우'의 역할까지 하는 것은 가급적 삼가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또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듯이, 코로나19 사태가 지속가능한 농촌을 만드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