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이를 위한 쉽지 않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내걸면서 '급진적' 정책들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이는 농업 부문에도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전망이다.
27일 농업관련 기관들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농업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것은 2.9%로 발표됐다.
하지만 지난 2015년 세계식량농업기구(FAO)는 세계 식량시스템에서 나오는 온실가스가 전 세계 배출량의 34%에 달한다고 밝힌 바 있어, 실제로는 2.9%보다 훨씬 많을 가능성이 높다.
농업계의 탄소 배출은 대부분 우리 농업의 핵심인 벼 재배 및 한우 사육과정에서 나오는 메탄과 아산화질소여서, 감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또 농업생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와 연료, 사료 등 모든 투입재가 큰 영향을 받을 것이므로, 이제까지 경험 못한 '도전과 시련'이 우려된다.
스마트팜 플랫폼 현장 시연/사진=농촌진흥청 제공
이에 따라, 단위 생산물 당 투입재와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정밀농업'이 대안으로 꼽힌다.
비료와 농약, 사료 등을 최적기에 최적량 투입, 흡수율을 최고로 높이고, 메탄과 아산화질소 생성을 최소화하는 농법과 사육방식을 도입, 완전한 '경축순환농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유기물을 양분과 수분 저장고 겸 미생물 번식처로 활용, 땅 속에 축적하는 농업을 개발하고, 생산성 향상으로 절약된 농지는 산림화, 탄소를 흡수하는 대안도 제시된다.
농업 전문 민간연구기관인 GS&J인스티튜트 이정환 이사장은 최근 한 기고에서 "먹거리 안보는 탄소중립과 동시에 달성해야 할 목적일 수밖에 없고, 다른 산업이 대체할 수도 없다"며 "농업은 탄소중립을 위해 생산을 줄이거나 대체재를 찾는 게 아니라, 스마트 정밀농업으로 가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농업은 지난 1990년 이후 시장 개방의 '쓰나미' 속에서 재배면적은 33%, 취업자는 55% 각각 급감했지만, 부가가치 생산은 오히려 56% 급증했다"며 "그런 저력을 다시 한번 발휘할 때"라고 덧붙였다.
남재작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대표는 "먹거리 안보가 위축되면서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 "탄소중립이 농업.농촌에 미칠 영향을 분석, 스마트 정밀농업으로 생산물 당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등, 탄소중립과 먹거리 안보를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