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탄소중립을 위한 '탄소격리' 방법론에는 8가지가 있다.
이 중 자연유래 방법들은 신규 조림 및 재조림, 토양 탄소격리, 바이오차, 풍화 증진 및 해수 알칼리화, 해양시비 등으로, 전통적으로 다수 기업들이 탄소배출량을 상쇄하기 위해 사용해 온 것이다.
하지만 가용 토지면적 부족, 장기간의 조림 소요시간 및 산불발생 위험 등으로, 전면 확대에는 제한이 많다.
반면 기술개발에 의한 방법은 대기 중 탄소포집 및 제거, 특정시설 탄소포집이 있는데, 대기 중 탄소제거와 용량 확대에 더 효과적이나, 아직 높은 비용수준이 단점이다.
특정시설 탄소포집인 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CCUS)은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별도 저장 혹은 재사용하기 위해 모으는(포집) 방법으로, 특정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화학공정에 재활용하거나, 땅 속 폐유가스전 등에 저장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실제 운영 중인 판소포집 설비용량의 95%는, CCU 혹은 CCS로 추정된다.
미국산 셰일가스가 국적선에 선적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중 CCS는 지난 2019년 이후에야 본격적인 설치가 이뤄져, 사실상 현행 탄소포집 프로젝트의 대다수는 CCU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 천연가스 생산국들의 미드스트림에 설치된 CCU 프로젝트가 주류다.
사실상 '셰일가스 개발시대의 산물'로서,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화석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포집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평가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탄소격리 밸류체인에서 가장 큰 비용요소는 포집으로, 총 비용의 약 70%를 점유한다.
그러나 가스처리시설, 에탄올 생산공정, 천연가스 개질공정처럼 기존 설비에서 고순도 이산화탄소가 분리될 경우, 포집비용 중간값이 이산화탄소 톤당 60 달러 미만으로 가장 적다.
따라서 향후 CCUS 프로젝트 비용저감은 포집기술 개발과 설비투자 규모, 정책보조 여부에 의해 좌우될 전망이다.
주요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오는 2050년까지 제시하는 탄소저감량 중, 탄소격리 프로젝트에 의한 비중은 약 20%에 달한다.
한세원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탄소중립 시나리오 상, 앞으로 30면간 현행 탄소격리 프로젝트 용량의 52~190배의 신규 처리용량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기존 프로젝트가 천연가스 미드스트림 위주로 진행됐다면, 향후 10년은 발전소 및 블루수소 생산을 중심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