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세계 경제 리스크는?

2021-12-19 07:55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자산매입프로그램을 내년 3월에 종료하고 기준금리 인상을 3회까지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등, '통화정책 정상화'의 고삐를 바짝 죄고 나섰다.

미국의 돈줄죄기는 유동성, 금리, 국제공조 체제 등의 변화로 인해 세계 경제에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그 4대 위험요인으로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저하, 금리상승에 취약한 자산가격 조정, 부채의 급격한 디레버리징, 신흥국 불안 재연 등을 들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사진=연합뉴스



우선 연준의 국채보유 비중 축소가 국채시장의 기능 약화로 이어질 소지가 있고, 저신용 부채 부실화와 비은행 금융기관 유동성 위기 등이 금융시스템 리스크를 증폭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동안의 통화완화로 금융 및 실물자산 가격이 펀더멘털 대비 고평가돼 있어, 시장금리의 '임계점' 상회시 조정폭 확대가 우려된다는 점이다.

임계점은 일례로, 10년물 장기금리가 연 2~2.25%를 상회할 경우가 제기됐다.

아울러 부채축소는 민간보다 정부부채의 지속가능성이 우려되지만, 부채의 이자비용이 낮은 상태라 단기간 내 급격하게 진행될 가능성은 낮다고 국제금융센터는 전망했다.

하지만 신흥국들은 성장둔화 및 부채 증가 등 취약성이 잔존하고 있어,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따라서는 금융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금융시스템 위기 가능성은 크지 않으나, '중저 강도'의 금융불안은 빈번해질 가능성이 잠재돼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통제하기 어려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의 '공급 병목' 현상, 코로나19 환경 하에서 진행되고 있어, 경제지표 결과에 따라서는 정책기조의 급격한 전환 가능성이 우려되면서, 시장의 '긴축 발작'이 수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김성택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위기가 발생할 임계점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높아졌지만, 자산가격 전반의 고평가, 수익률 추구 심화, 저신용 부채 급등 등을 고려할 때, 시장금리 급등 시에는 금융불안이 확대될 소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