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고용시장 5개월 연속 증가세... “물가상승은 아직 영향 없어”

2022-06-13 13:57 | 구태경 차장 | roy1129@mediapen.com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지난달 국내 고용시장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내수 활성화 기대감으로 음식·숙박업 고용이 늘어나면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여기에 공공행정 부문 고용은 감소하면서 고용시장의 질적 개선이 이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용보험 가입자수 및 증감 추이(1000명)./자료=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는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2년 5월 노동시장 동향’ 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 수는 1478만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2만2000명이 증가했다”며 “공공행정을 제외한 모든 산업, 모든 연령계층에서 피보험자가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주요 증가요인으로는 거리두기 완화와 외부활동 증가에 따른 내수 경기회복을 꼽았다.

천경기 미래고용분석과장은 “고용행정통계가 노동시장을 전체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대부분 업종과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아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회복상태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을 내놨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먼저 제조업 가입자수는 366만8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만2000명 증가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여전히 어려운 여건에 있으나, 인프라 투자 증가와 경기회복 등에 대한 기대로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조선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기타·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부터 수주량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대형 사업장의 구조조정으로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여전히 소폭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고용보험 가입자는 1020만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0만6000명 증가했다. 코로나19 이후 크게 증가한 돌봄, 보건 및 비대면 서비스업 외에도 소비심리 개선으로 대면 서비스업도 회복되면서 가입자 증가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도매업은 장비 및 물품도매 중개 및 가공식품 도매 중심으로, 소매업은 무점포 소매업, 체인화 편의점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송업은 택시, 버스, 항공 등 여객 운송의 어려움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표적인 대면 서비스업인 숙박·음식업의 경우, 숙박업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여전히 회복하지 못했지만, 음식점과 음료점업 가입자 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는 모든 연령층에서 증가했다. 29세 이하 및 30대는 생산연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출판·영상·통신, 숙박·음식,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0세 이상은 보건복지, 제조업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연령별로 상이한 증가 양상을 보였다.

천경기 고용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금리인상 및 물가상승 등의 위험 요인에도 불구, 고용시장 증가세는 단기간 유지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사진=공동취재사진



최 과장은 최근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에 따른 노동시장 영향 여부를 묻자 “고용보험 가입자 통계는 상시 가입자를 중심으로 집계된 통계인 만큼, 위기 요인이 곧바로 고용의 증가나 감소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면서도 “최근의 충격들은 향후에 하방충격, 하방압력 등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이어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현재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최 과장은 “지난 2020, 2021년에 걸쳐서 보건복지 및 직접일자리 사업 등에서 많은 증가가 있었지만, 올해는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에서 직접 채용하는 방역일자리 등과 같은 직접일자리 사업이 축소돼, 공공행정 부분 고용 감소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5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000명 감소했고, 구직급여 지급자는 63만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8000명 감소했으며, 구직급여 지급자 수는 63만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8000명 감소했으며, 지급액은 1조 150억 원으로 628억 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