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밀가루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미래 혁신 먹거리인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해 ‘쌀가루 산업 발전협의체’를 구성하고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1차 회의(kick-off)를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6월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분질미 산업화 육성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농식품부
동 협의체는 농식품부, 농촌진흥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협경제지주, 지방자치단체, 분질미 생산단지, 제분·가공업체(미듬영농조합·에스피씨(SPC)·사조동아원·씨제이(CJ)제일제당·하림), 한국쌀가공식품협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련 전문가 등 총 22인으로 구성된다.
분질미는 기존 쌀 가공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밀가루를 대체해 식량 안보 강화와 쌀 과잉 문제 해소에 기여할 대안으로 지난 6월 정황근 농식품부장관이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총력을 기울여 육성하겠다고 의지를 피력한 사업이다.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은 오는 2027년까지 가공 전용 쌀 종류인 분질미 20만 톤 공급하고 밀가루 연간 수요(약 200만 톤)의 10%를 대체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식량자급률은 전체 45.8%로 이 중 밀은 0.8%밖에 되지 않는 반면 쌀은 구조적 공급과잉인 상황이다. 이에 이번 대책을 통해 2027년에는 전체 52.5% , 밀 7.9%의 자급률과 함께 쌀 수급균형을 맞추겠다는 복안이다.
동 발표 이후 생산자, 제분·가공업체, 소비자, 전문가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필요성이 두각되면서 이번 협의체를 구성하게 됐다.
협의체의 주요 목적은 분질미 생산을 위한 △전문 재배단지 조성 △가공·소비 확대를 위한 제품 개발 및 연구개발(R&D) △소비판로 지원 등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 세부 이행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 있다.
또한 이해관계자 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생산부터 유통·소비까지 산업 전반에 대해 지속·정기적으로 논의하고 협력하는 소통 창구로서의 기능도 있다.
전한영 식량정책관은 “분질미를 활용한 쌀가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자, 제분·가공업체, 소비자, 전문가 간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라며 “정부는 앞으로 협의체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제안된 사항을 면밀하게 검토·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정 장관은 “기업 입장에서는 안정적으로 원료를 공급받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정부는 매년 3~5월 사이에 농가하고 분질미 매입계약을 체결한 후 공공비축미의 일부를 매입할 계획”이라며 “초기엔 이를 시장에 맡기지 않고 정부가 식품업체에 공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쌀이 남아 매년 수천억을 쏟아붓고 있는데도 가격이 안 잡혀서 농민들이 아우성치고 있는 상황인데 이번 대책을 통해 수급균형을 맞춤과 동시에 식량자급률도 높일 수 있다”고 역설했다.
향후 협의체는 분기 1회 개최를 원칙으로 당면현안에 따라 개최 시기는 탄력적으로 운영하되, 필요한 경우 협의회 일부 위원과 관련 전문가를 포함한 실무협의회를 추가 운영할 계획이다.
분질미 산업화를 통환 밀 자급률 변화 예측./인포그래픽=농식품부
한편 농식품부에 따르면 쌀가공산업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7조 3000억원에서 오는 2027년에는 10조 원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쌀 가공식품 수출은 같은 기간 약 1억 4000만 달러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